百丈一日問師 什麽處去來 曰大雄山下采菌子來 百丈曰 還見大蟲麽 師便作虎聲 百丈拈斧作斫勢 師卽打百丈一摑 百丈吟吟大笑便歸 上堂謂衆曰 大雄山下有一大蟲 汝等諸人也須好看 百丈老漢今日親遭一口 師在南泉時普請擇菜 南泉問什麽處去 曰擇菜去 南泉曰 將什麽擇 師擧起刀子 南泉曰 大家擇菜去 一日南泉謂師曰 老僧偶述牧牛歌 請長老和 師云 某甲自有師在 師辭南泉 門送提起師笠子云 長老身材勿量大 笠子太小生 師云 雖然如此大千世界總在裏許 南泉云 王老師聻 師便戴笠子而去 後居洪州大安寺海衆奔湊
●菌子; 高等菌類 有食用的菌子 如香菇等
●刀子; 用于切割砍削的器具的總名 子 後綴
●身材; 指身體的高低肥瘦
●大千世界; 三千大千世界也 經說 世界有小千中千大千之別 合四大洲日月諸天爲一世界 一千世界名小千世界 小千加千倍名中千世界 中千加千倍名大千世界 ▲俱舍論十一 頌曰 四大洲日月 蘇迷盧欲天 梵世各一千 名一小千界 此小千千倍 說名一中千 此千倍大千 皆同一成壞
●海衆; 衆僧一味和合 譬如海也 ▲增壹阿含經四十五 衆僧者如彼大海 所以然者 流河決水以入于海 便滅本名 但有大海之名耳
백장이 어느 날 스님에게 묻되 어느 곳에 갔다 왔느냐. 가로되 대웅산 아래 버섯(菌子)을 캐고 옵니다. 백장이 가로되 도리어 범(大蟲)을 보았느냐. 스님이 바로 범의 소리를 지었다. 백장이 도끼를 집어 쪼갤 자세를 지었다. 스님이 곧 백장을 때려 한 번 후려갈겼다. 백장이 끙끙거리다가(吟吟) 크게 웃고는 바로 돌아갔다. 상당하여 대중에게 일러 이르되 대웅산 아래 한 마리 범이 있는데 너희 등 제인은 또한 모름지기 잘 보아라(好看). 백장 노한이 금일 친히 한 아가리 만났다. 스님이 남천(南泉)에 있을 때 보청(普請)하여 채소를 가렸다(擇菜). 남천이 묻되 어느 곳에 가느냐. 가로되 택채(擇菜)하러 갑니다. 남천이 가로되 무엇을 가지고 가리는가. 스님이 도자(刀子)를 들어 일으켰다. 남천이 가로되 대가(大家; 대중)가 택채(擇菜)하는구나. 어느 날 남천이 스님에게 일러 가로되 노승이 우연히 목우가(牧牛歌)를 서술했으니 청컨대 장로(長老)가 화(和)하라. 사운(師云) 모갑은 스스로 스승이 있습니다. 스님이 남천에게 고별하자 문송(門送)하다가 입자(笠子; 삿갓)를 제기(提起)하고 이르되 장로는 신재(身材)가 헤아릴 수 없이 크거늘(勿量大) 입자(笠子)는 너무 작구나(太小生; 生은 조사). 사운 비록 그러하여 이와 같지만 대천세계(大千世界)가 모두(總) 이허(裏許; 內裏. 裏邊)에 있습니다. 남천이 이르되 왕노사는(王老師聻). 스님이 바로 입자를 이고 갔다. 후에 홍주(洪州) 대안사(大安寺)에 거주했는데 해중(海衆)이 분주(奔湊; 集聚. 會合)했다.
●菌子; 고등(高等)의 버섯 종류. 식용의 균자가 있으니 향고(香菇) 같은 것 등임.
●刀子; 끊고 쪼개고 베고 깎는 데 사용하는 기구의 총명. 자는 후철.
●身材; 신체의 고저()高低와 비수(肥瘦)를 가리킴.
●大千世界; 삼천대천세계임. 경에 설하기를 세계가 소천ㆍ중천ㆍ대천의 구별이 있다 했음. 사대주ㆍ 일월ㆍ제천을 합해서 한 세계가 되며 1천 세계를 이름해 소천세계며 소천에 천배(千倍)를 가하면 이름이 중천세계며 중천에 천배를 가하면 이름이 대천세계임. ▲구사론11. 송에 가로되 사대주와 일월/ 소미로(蘇迷盧; 수미산)와 욕천(欲天; 六欲天)/ 범세(梵世; 色界 18天) 각 1천이/ 이름이 1소천계며/ 이 소천의 천배를/ 설해 1중천이라 이름하며/ 이것의 천배가 대천이니/ 다 동일하게 성괴한다.
●海衆; 중승(衆僧)이 1미(味)로 화합함이 비유컨대 바다와 같음. ▲증일아함경45. 중승이란 것은 저 대해와 같나니 소이가 그러한 것은 유하(流河)와 결수(決水; 둑이 무너져 흐르는 물)가 바다에 들면 바로 본명이 없어지고 단지 대해의 이름만 있을 뿐이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9 황벽희운(黃檗希運) 04 (0) | 2023.03.24 |
---|---|
전등록 권9 황벽희운(黃檗希運) 03 (0) | 2023.03.24 |
전등록 권9 황벽희운(黃檗希運) 01 (0) | 2023.03.23 |
전등록 권9 위산영우(潙山靈祐) 08 (0) | 2023.03.22 |
전등록 권9 위산영우(潙山靈祐) 07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