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道人勿疑四大爲身 四大無我 我亦無主 故知此身無我亦無主 五陰無我亦無主 故知此心無我亦無主 六根六塵六識和合生滅亦復如是 十八界旣空一切皆空 唯有本心蕩然淸淨 有識食有智食 四大之身飢瘡爲患 隨事給養不生貪著 謂之智食 恣情取味妄生分別 唯求適口不生厭離 謂之識食 聲聞者 因聲得悟謂之聲聞 但不了自心 於聲敎上起解 或因神通 或因瑞相語言運動 聞有菩提涅槃 三阿僧祇劫修成佛道 皆屬聲聞道 謂之聲聞佛 惟直下頓了自心本來是佛 無一法可得 無一行可修 此是無上道 此是眞如佛 學道人只怕一念有卽與道隔矣 念念無相念念無爲 卽是佛 學道人若欲得成佛 一切佛法總不用學 惟學無求無著 無求則心不生 無著則心不染 不生不染卽是佛 八萬四千法門對八萬四千煩惱 是敎化接引門 本無一法 離卽是法 知離者是佛 但離一切煩惱是無法可得
●十八界; 界爲種類種族之義 謂十八種類自性各別不同 故稱十八界 又作十八持 卽眼 耳 鼻 舌 身 意等六根 及其所對之色 聲 香 味 觸 法等六境 以及六根緣對六境 所生之眼 耳 鼻 舌 身 意等六識 合稱爲十八界 [大毘婆沙論七十一 俱舍論一] ▲大乘五蘊論 復有十八界 謂眼界色界眼識界 耳界聲界耳識界 鼻界香界鼻識界 舌界味界舌識界 身界觸界身識界 意界法界意識界
●三阿僧祇; 略稱三僧祇 三僧秖 又三阿僧祇劫之第三 ▲祖庭事苑四 梵云僧祇 此言無量 謂世尊經三僧祇修行 自十信初發心 至世第一 名初僧祇 從見道至第七地末 名第二僧祗 從第八地至解脫道 名第三僧祇 此三祇外 方得成佛
●八萬四千; 乃數量極多之形容詞 略作八萬 煩惱種類極多 喩稱八萬四千煩惱 八萬四千塵勞 佛所說之敎法及其意義至爲繁複 故亦總稱八萬四千法門(八萬法門) 八萬四千法藏(八萬法藏) 八萬四千法蘊(八萬法蘊) [往生要集上]
○학도인(學道人)은 의심하여 4대(四大)로 몸을 삼지 말아라, 4대는 아(我)가 없으며 아(我) 또한 주(主)가 없나니 고로 이 몸은 무아(無我)며 또한 무주(無主)임을 알아라. 5음(陰)도 아(我)가 없고 또한 주(主)가 없나니 고로 이 마음도 무아(無我)며 또한 무주(無主)임을 알아라. 6근(根)ㆍ6진(塵)ㆍ6식(識)이 화합하여 생멸(生滅)함도 또한 다시 이와 같다. 18계(十八界)가 이미 공(空)한지라 일체가 다 공(空)했나니 오직 본심(本心)만 있어 탕연(蕩然; 空寂한 모양)히 청정하다. 식식(識食)이 있고 지식(智食)이 있다. 4대(大)의 몸이 기창(飢瘡)으로 우환이 되거니와 수사(隨事)하여 급양(給養)하되 탐착(貪著)을 내지 않으면 이를 일러 지식(智食)이라 하고 자정(恣情; 縱情. 任意)으로 취미(取味)하며 허망하게 분별을 내면서 오직 입에 알맞은 것을 구하되 염리(厭離; 싫어서 떠남)를 내지 않으면 이를 일러 식식(識食)이라 한다. 성문(聲聞)이란 것은 소리(聲)로 인해 깨침을 얻는지라 이를 일러 성문이라 한다. 단지 자심(自心)을 깨닫지 못하고 성교상(聲敎上)에 이해를 일으키거나 혹은 신통(神通)을 인하거나 혹 서상(瑞相)을 인하여 어언(語言)하고 운동(運動)하면서 보리(菩提)와 열반(涅槃)이 있다 함을 듣고 삼아승기겁(三阿僧祇劫)에 수행하여 불도를 이룸은 모두 성문도(聲聞道)에 속하며 이를 일러 성문불(聲聞佛)이라 한다. 오직 직하(直下)에 자심(自心)이 본래 이 부처임을 문득 깨달아 1법(法)도 가히 얻음이 없고 1행(行)도 가히 닦음이 없어야 이것이 이 무상도(無上道)며 이것이 이 진여불(眞如佛)이다. 학도인(學道人)이 다만 1념(念)이 있음(有)을 두려워하면 곧 도(道)와 격애(隔碍)되나니 염념(念念)이 무상(無相)이며 염념이 무위(無爲)라야 즉시(卽是) 부처다. 학도인(學道人)이 만약 성불(成佛)을 얻고자 한다면 일체의 불법(佛法)을 모두(總) 배움을 쓰지 말고 오직 무구무착(無求無著)을 배워야 한다. 무구(無求)면 곧 마음이 불생(不生)하고 무착(無著)이면 곧 마음이 불염(不染)하나니 불생불염(不生不染)이 즉시(卽是) 부처다. 팔만사천(八萬四千) 법문(法門)은 팔만사천 번뇌를 상대함이니 단지(秖) 이것은 교화로 접인(接引)하는 문(門)이다. 본래 1법도 없나니 여의면(離) 즉시(卽是) 법이며 여읨을 아는 자는 이 부처다. 단지 일체의 번뇌를 여의면 이것이 가히 얻을 법이 없음이다.
●十八界; 계(界)는 종류ㆍ종족의 뜻이 됨. 이르자면 18종류의 자성이 각별하여 같지 않은지라 고로 명칭이 18계임. 또 18지(持)로 지음. 곧 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의 등 6근(根) 및 그 소대(所對)의 색ㆍ성ㆍ향ㆍ미ㆍ촉ㆍ법 등 6경(境) 그리고 6근이 6경을 연대(緣對)하여 소생(所生)하는 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의 등의 6식(識)을 합칭하여 18계라 함 [대비바사론71. 구사론1]. ▲대승오온론. 다시 18계가 있다. 이르자면 안계ㆍ색계ㆍ안식계, 이계ㆍ성계ㆍ이식계, 비계ㆍ향계ㆍ비식계, 설계ㆍ미계ㆍ설식계, 신계ㆍ촉계ㆍ신식계, 의계ㆍ법계ㆍ의식계다.
●三阿僧祇; 약칭이 삼승기(三僧祇), 삼승기(三僧秖). 또 삼아승기겁(三阿僧祇劫)의 제3. ▲조정사원4. 범어로 이르되 승기(僧祇)는 여기 말로는 무량이니 이르자면 세존이 3승기(僧祇)를 경과하며 수행함임. 10신(信)의 초발심으로부터 세제일(世第一)에 이름(至)을 이름이 초승기(初僧祇)며 견도(見道)로부터 제칠지말(第七地末)에 이름을 이름이 제2승기(第二僧祗)며 제8지(第八地)로부터 해탈도(解脫道)에 이름을 이름이 제3승기(第三僧祇)니 이 3기(祇)의 밖이라야 비로소 성불을 얻음. 又三阿僧祇劫之第三
●八萬四千; 곧 수량의 극다(極多)의 형용사(形容詞)임. 간략히 팔만(八萬)으로 지음. 번뇌의 종류가 극다하여 비유로 일컬어 팔만사천번뇌ㆍ팔만사천진로(八萬四千塵勞)라 하고 부처가 설한 바의 교법(敎法) 및 그 의의(意義)가 지극히 번복(繁複)한지라 고로 또한 총칭(總稱)하여 팔만사천법문(八萬四千法門; 八萬法門)ㆍ팔반사천법장(八萬四千法藏; 八萬法藏)ㆍ팔만사천법온(八萬四千法蘊; 八萬法蘊)이라 함 [왕생요집상].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9 (0) | 2023.04.01 |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8 (0) | 2023.04.01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6 (0) | 2023.03.31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5 (0) | 2023.03.31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4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