景德傳燈錄卷第十
懷讓禪師第三世下六十一人
池州南泉普願禪師法嗣一十七人
湖南長沙景岑禪師
荊南白馬曇照禪師
終南山雲際師祖禪師
鄧州香嚴下堂義端禪師
趙州東院從諗禪師
池州靈鷲閑禪師
鄂州茱萸山和尙
衢州子湖利蹤禪師
洛京嵩山和尙
日子和尙
蘇州西禪和尙
宣州刺史陸亘池州行者甘贄〈已上一十三人見錄〉
資山存制禪師
江陵道弘禪師
宣州玄極禪師
新羅國道均禪師〈已上四人無機緣語句不錄〉
杭州鹽官齊安禪師法嗣八人
襄州關南道常禪師
洪州雙嶺玄眞禪師
杭州徑山鑒宗禪師〈已上三人見錄〉
唐宣宗皇帝
白雲曇靖禪師
潞府淥水文擧禪師
新羅品日禪師
壽州建宗禪師〈已上五人無機緣語句不錄〉
婺州五洩山靈默禪師法嗣四人
福州龜山正原禪師〈一人見錄〉
甘泉寺曉方禪師
明州棲心寺藏奐禪師
甘泉寺元遂禪師〈已上三人無機緣語句不錄〉
洛京佛光寺如滿禪師法嗣一人
杭州刺史白居易〈一人見錄〉
明州大梅山法常禪師法嗣三人
新羅國迦智禪師
杭州天龍和尙〈已上二人見錄〉
新羅國忠彦禪師〈一人無機緣語句不錄〉
荊州永泰寺靈湍禪師法嗣五人
湖南上林戒虛禪師
五臺山祕魔巖和尙
湖南祇林和尙〈已上三人見錄〉
呂后山文質禪師
蘇州法河禪師〈已上二人無機緣語句不錄〉
幽州盤山寶積禪師法嗣二人
鎭府普化和尙〈一人見錄〉
鎭州上方和尙〈一人無機緣語句不錄〉
京兆興善寺惟寬禪師法嗣六人
京兆法智禪師
京兆無表禪師
京兆慧建禪師
京兆元淨禪師
京兆慧光禪師
京兆義宗禪師〈已上六人無機緣語句不錄〉
雲水靖宗禪師法嗣二人
華州小馬神照禪師
華州道圓禪師〈已上二人無機緣語句不錄〉
潭州龍牙山圓暢禪師法嗣二人
嘉禾藏廙禪師〈一人見錄〉
羊腸藏樞禪師〈一人無機緣語句不錄〉
汾州無業國師法嗣二人
鎭州常貞禪師
鎭州奉先義禪師〈已上二人無機緣語句不錄〉
廬山歸宗寺智常禪師法嗣六人
福州芙蓉山靈訓禪師
漢南穀城縣高亭和尙
新羅大茅和尙
五臺山智通禪師〈已上四人見錄〉
洪州高安大愚禪師
江州刺史李渤〈已上二人無機緣語句不錄〉
魯祖山寶雲禪師法嗣一人
雲水和尙〈一人無機緣語句不錄〉
紫玉山道通禪師法嗣一人
唐襄州節度使于頔〈一人無機緣語句不錄〉
華嚴寺智巖禪師法嗣一人
黃州齊安和尙〈一人見錄〉
懷讓第三世下
前池州南泉普願禪師法嗣
湖南長沙景岑號招賢大師 初住鹿苑爲第一世 其後居無定所 但徇緣接物隨請說法 故時衆謂之長沙和尙 上堂曰 我若一向擧揚宗敎 法堂裏須草深一丈 我事不獲已 所以向汝諸人道 盡十方世界是沙門眼 盡十方世界是沙門全身 盡十方世界是自己光明 盡十方世界在自己光明裏 盡十方世界無一人不是自己 我常向汝諸人道 三世諸佛共盡法界衆生是摩訶般若光 光未發時汝等諸人向什麽處委 光未發時尙無佛無衆生消息 何處得山河國土來 時有僧問 如何是沙門眼 師云 長長出不得 又云 成佛成祖出不得 六道輪迴出不得 僧云 未審出箇什麽不得 師云 晝見日夜見星 僧云 學人不會 師云 妙高山色靑又靑 僧問 敎中云 而常處此菩提座 如何是座 師云 老僧正坐大德正立 僧問 如何是大道 師云 沒却汝 僧問 諸佛師是誰 師云 從無始劫來承誰覆蔭 僧問 未有諸佛已前作麽生 師云 魯祖開堂亦與師僧東道西說 僧問 學人不據地時如何 師云 汝向什麽處安身立命 僧云 却據地時如何 師云 拕出死屍著 僧問 如何是異類 師云 尺短寸長 僧問 如何是諸佛師 師云 不可更拗直作曲邪 僧云 請和尙向上說 師云 闍梨眼瞎耳聾作麽
●擧揚; 擧說 闡揚
●沙門眼; 指禪僧的智慧法眼
●長長; 一常常 經常 二長久
●妙高山; 梵語須彌山 蘇迷盧山 須彌盧山 須彌留山 修迷樓山 略作彌樓山 此云妙高山 好光山 好高山 善高山 善積山 妙光山 安明由山
●而常處此菩提座; 華嚴經六 佛身充滿於法界 普現一切衆生前 隨緣赴感靡不周 而恒處此菩提座
●東道西說; 形容漫無目的地隨意講說 亦指言辭多
●安身立命; 又作安心立命 卽安立身命之意 亦卽盡人事行道 竝隨順天命而安住其心 不爲一切外物所動
●向上; 指由下至上 從末至本 反之 從上至下 從本到末 稱爲向下
호남(湖南) 장사경잠(長沙景岑) 호(號) 초현대사(招賢大師). 처음에 녹원(鹿苑)에 거주하여 제1세(第一世)가 되었고 그후 거처에 정한 곳이 없었다. 단지 인연을 따르며(徇) 접물(接物; 接人)하고 청을 따라(隨) 설법한지라 고로 당시의 무리(衆)가 그를 일러 장사화상(長沙和尙)이라 했다. 상당(上堂)해 가로되 내가 만약 일향(一向) 종교(宗敎)를 거양(擧揚)한다면 법당 속에 모름지기 풀의 깊이가 1장(丈)이리라. 내가 일이 불획이(不獲已; 不得已)하여 소이로 너희 제인을 향해 말하노니 온(盡) 시방세계가 이 사문의 눈(沙門眼)이며 온 시방세계가 이 사문의 전신(全身)이며 온 시방세계가 이 자기의 광명(光明)이며 온 시방세계가 자기의 광명 속에 있으며 온 시방세계에 한 사람이라도 이 자기가 아님이 없다. 내가 항상 너희 제인을 향해 말하되 삼세제불이 온 법계의 중생과 함께(共) 이 마하반야(摩訶般若)의 빛(光)이다. 빛을 발(發)하지 않았을 때 너희 등 제인이 어느 곳(什麽處)을 향해 알겠는가(委; 確知. 여러 선록에 委悉로 지었음). 빛이 발하지 않았을 때 오히려(尙) 부처도 없고 중생도 없는 소식(消息)이거늘 어느 곳에서 산하국토를 얻어 오겠는가. 때에 어떤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사문의 눈(沙門眼)입니까. 사운(師云) 장장(長長) 나옴을 얻지 못한다. 또 이르되 성불성조(成佛成祖)가 벗어남을 얻지 못하고 육도윤회(六道輪迴)가 벗어남을 얻지 못한다. 승운(僧云) 미심하오니 저(箇) 무엇(什麽)을 벗어남을 얻지 못합니까. 사운 낮에는 해를 보고 밤에는 별을 본다. 승운(僧云) 학인이 알지 못하겠습니다. 사운 묘고산색(妙高山色)이 푸르고 또 푸르다. 승문(僧問) 교중(敎中)에 이르되 항상 이 보리좌에 거처한다(而常處此菩提座). 무엇이 이 좌(座)입니까. 사운 노승은 바로 앉았고(正坐) 대덕(大德)은 바로 섰다(正立). 승문 무엇이 이 대도(大道)입니까. 사운 너를 빠지게 해버린다(沒却). 승문 제불의 스승은 이 누구입니까. 사운 무시겁(無始劫)으로 좇아오며 누구의 부음(覆蔭; 庇護)을 승수(承受)했는가. 승문(僧問; 저본에 僧師로 지었음) 제불이 있지 아니한 이전(已前)은 어떻습니까(作麽生). 사운 노조(魯祖; 寶雲)가 개당(開堂)하여 또한 사승(師僧)에게 동도서설(東道西說)하여 준다. 승문 학인이 땅에 의거(依據)하지 않을 땐 어떻습니까. 사운 네가 어느 곳을 향해 안신입명(安身立命)하느냐. 승운 도리어 땅에 의거할 땐 어떻습니까. 사운 사시(死屍)를 끌어내어라(拕出). 승문 무엇이 이 이류(異類)입니까. 사운 척은 짧고 촌은 길다(尺短寸長). 승문 무엇이 이 제불의 스승입니까. 사운 다시 직(直)을 꺾어 곡사(曲邪)를 지음은 옳지 못하다(不可). 승운 화상에게 청하오니 향상(向上)을 설하십시오. 사운 사리(闍梨)가 눈 멀고 귀 먹어(眼瞎耳聾) 무엇하려느냐(作麽).
●擧揚; 들어 설함. 천양(闡揚).
●沙門眼; 선승의 지혜의 법안을 가리킴.
●長長; 1. 상상(常常). 경상(經常; 平常. 常常). 2. 장구(長久).
●妙高山; 범어로 수미산ㆍ소미로산(蘇迷盧山)ㆍ수미로산(須彌盧山)ㆍ수미류산(須彌留山)ㆍ수미루산(修迷樓山)으로 지으며 간략히 미루산(彌樓山)으로 지음. 여기에선 이르되 묘고산(妙高山)ㆍ호광산(好光山)ㆍ호고산(好高山)ㆍ선고산(善高山)ㆍ선적산(善積山)ㆍ묘광산(妙光山)ㆍ안명유산(安明由山)임.
●而常處此菩提座; 화엄경6. 불신이 법계에 충만하여/ 일체중생의 앞에 널리 나타나나니/ 인연 따라 이르러 감응하며 두루하지 않음이 없으되/ 항상 이 보리좌에 거처한다(而恒處此菩提座).
●東道西說; 부질없이 목적이 없는 경지에서 뜻대로 강설함을 형용. 또 언사가 많음을 가리킴.
●安身立命; 또 안심입명(安心立命)으로 지음. 곧 신명을 안립함의 뜻. 또한 곧 인사(人事)를 다해 행도(行道)하고 아울러 천명(天命)에 수순(隨順)하여 그 마음에 안주하면서 일체의 외물(外物)에 동요되는 바가 되지 않음임.
●向上; 아래로부터 위에 이르고 말(末)로부터 본(本)에 이름을 가리킴. 이와 반대로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고 본으로부터 말에 이름은 일컬어 향하(向下)라 함.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10 장사경잠(長沙景岑) 03 (0) | 2023.04.03 |
---|---|
전등록 권10 장사경잠(長沙景岑) 02 (0) | 2023.04.03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16 (0) | 2023.04.02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15 (0) | 2023.04.02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14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