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如何是聲前句 師曰 大德未問時卽答 僧曰 卽時如何 師曰 卽時問也 問如何是直截根源佛所印 師拋下拄杖散手而去 問如何是師法大意 師曰 今年霜降早 蕎麥總不收 問如何是西來意 師以手入懷出拳展開與之 僧乃跪膝以兩手作受勢 師曰 是什麽 僧無對 問如何是道 師曰 枯木龍吟 僧曰 學人不會 師曰 髑髏裏眼睛〈玄沙別云 龍藏枯木〉 問離四句絕百非 請和尙道 師曰 獵師前不得說本師戒 一日謂衆曰 如人在千尺懸崖 口銜樹枝 脚無所蹋 手無所攀 忽有人問如何是西來意 若開口答卽喪身失命 若不答又違他所問 當恁麽時作麽生 時有招上座出曰 上樹時卽不問 未上樹時如何 師笑而已 師問僧 什麽處來 僧曰 潙山來 師曰 和尙近日有何言句 僧曰 人問如何是西來意 和尙竪起拂子 師聞擧乃曰 彼中兄弟作麽會和尙意旨 僧曰 彼中商量道 卽色明心附物顯理 師曰 會卽便會 不會著什麽死急 僧却問 師意如何 師還擧拂子〈玄沙云 只遮香嚴脚跟猶未點地 雲居錫云 什麽是香嚴脚跟未點地處〉 師凡示學徒語多簡直 有偈頌二百餘篇 隨緣對機不拘聲律 諸方盛行 後諡襲燈大師
●本師; (一)謂根本之敎師 亦卽本緣導師 本從師之意 一般多用於稱呼釋迦如來 與敎主本主本佛同義 (二)弟子尊稱其師 亦稱爲本師 禪錄多稱其受業師爲本師 此指一
●死急; 極急切義 同義語火急 ▲智度論十三 殺爲罪中之重 何以故 人有死急 不惜重寶 但以活命爲先
●脚跟猶未點地; 脚跟 於禪林常轉指本來自我 脚跟未點地 是對修行未純熟之用語
●聲律; 一五聲六律 指音樂 二指語言文字的聲韻格律 此指二
묻되 무엇이 이 성전구(聲前句)입니까. 사왈(師曰) 대덕이 묻지 않았을 때 곧 답했다. 승왈(僧曰) 즉시(卽時)는 어떻습니까. 사왈 즉시(卽時) 물었다. 묻되 무엇이 이 근원(根源)을 직절(直截)함은 불타가 인(印) 친 바(증도가의 1구)입니까. 스님이 주장자를 던져 떨어뜨리고 산수(散手; 손을 휘젓다)하고 갔다. 묻되 무엇이 사법(師法)의 대의(大意)입니까. 사왈 금년은 상강(霜降)이 일러(早) 교맥(蕎麥; 메밀. 저본에 喬麥으로 지었음)을 모두 수확(收穫)하지 못했다. 묻되 무엇이 이 서래의입니까. 스님이 손을 품에 넣었다가 주먹을 내어 전개(展開)하여 그에게 주었다. 중이 이에 무릎을 꿇고 양손으로써 받는 자세를 지었다. 사왈 이 뭣고. 중이 대답이 없었다. 묻되 무엇이 이 도입니까. 사왈 고목에 용이 읊조린다(枯木龍吟). 승왈(僧曰) 학인이 알지 못하겠습니다. 사왈 촉루 속의 눈동자다(髑髏裏眼睛)〈玄沙가 別云 용이 枯木에 숨었다〉. 묻되 이사구절백비(離四句絕百非)하고 화상의 말씀을 청합니다. 사왈 엽사(獵師) 앞에서 본사(本師)의 계(戒)를 설함을 얻지 말아라. 어느 날 대중에게 일러 가로되 가여(假如; 如) 사람이 천 척의 현애(懸崖; 낭떠러지)에 있으면서 입은 나뭇가지를 물고 발은 밟는 바가 없고 손은 매달리는(攀) 바가 없는데 홀연히 어떤 사람이 묻되 무엇이 이 서래의인가. 만약 입을 열어 답하면 곧 상신실명(喪身失命)하고 만약 답하지 않으면 또 그의 묻는 바에 위배되리니 이러한 때를 당하면 어떠한가(作麽生). 때에 초상좌(招上座)가 있어 나와 가로되 나무에 오른 때는 곧 묻지 않습니다. 나무에 오르지 않은 때 어떻습니까(如何). 스님이 웃을 따름이었다. 스님이 중에게 묻되 어느 곳에서 오느냐. 승왈(僧曰) 위산에서 옵니다. 사왈 화상이 근일 어떤 언구가 있던가. 승왈 사람이 묻되 무엇이 이 서래의입니까. 화상이 불자를 세워 일으켰습니다. 스님이 문거(聞擧)하고 이에 가로되 그 가운데의 형제들이 어떻게 화상의 의지(意旨)를 이회(理會)하는가. 승왈 그 가운데서 상량(商量)하여 말하되 색(色)에 즉(卽; 붙다)해 심(心)을 밝히고 물(物)에 붙어(附) 이(理)를 나타냄(顯)이다. 사왈 이회(理會)하면 곧 바로 이회할 것이지 이회하지 못한다면 무슨 사급(死急)에 붙는가(著). 중이 도리어 묻되 스님의 뜻은 어떻습니까(如何). 스님이 도리어 불자를 들었다〈玄沙가 이르되 다만 이는 香嚴의 발꿈치가 아직 땅에 닿지 않았다(脚跟猶未點地). 雲居錫이 이르되 무엇이 이 향엄의 발꿈치가 땅에 닿지 않은 곳인가〉. 스님이 무릇 학도(學徒)에게 보인 말은 다분히 간직(簡直)했다. 게송 2백여 편(篇)이 있으며 수연(隨緣)하여 대기(對機)했고 성률(聲律)에 구애되지 않았고 제방에 성행한다. 후에 시호가 습등대사(襲燈大師)다.
●本師; (1). 이르자면 근본의 교사임. 또 곧 본연(本緣)의 도사(導師)니 본래 좇는 스승의 뜻. 일반으로 다분히 석가여래의 칭호로 사용함. 교주ㆍ본주(本主)ㆍ본불과 같은 뜻. (2). 제자가 그 스승을 존칭함이니 또한 일컬어 본사라 함. 선록에선 다분히 그 수업사(受業師)를 일컬어 본사라 함.
●死急; 극히 긴급하고 절박함의 뜻. 동의어는 화급(火急). ▲지도론13. 살생은 죄 가운데 중죄가 된다. 무슨 연고인가. 사람이 사급(死急)함이 있으면 귀중한 보물을 아끼지 않고 다만 목숨 살림을 우선으로 삼는다.
●脚跟猶未點地; 각근(脚跟)은 선림에서 늘 전(轉)하여 본래의 자아를 가리킴. 각근미점지(脚跟未點地)는 이는 수행이 순숙(純熟)하지 못함에 대한 용어임.
●聲律; 1. 오성육률(五聲六律)이니 음악을 가리킴. 2. 어언문자(語言文字)의 성운(聲韻)과 격률(格律; 律詩)을 가리킴. 여기에선 2를 가리킴.
https://pyungsimsa.tistory.com/22642
전등록 주역(傳燈錄 註譯) 주문 제본
2023. 10월 말 번역 필. 5책 1질. 합 2,914쪽. 本註와 補註 총 4,940여 目. 미출간. 원문과 출처가 분명한 한문 주석을 넣고 다시 전체를 한글 번역. 주문 요청이 있을 시 인쇄소 에 부탁해 5일 내에 복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11 홍인선사(洪諲禪師) 01 (0) | 2025.02.09 |
---|---|
전등록 권11 법단대사(法端大師) (0) | 2025.02.09 |
전등록 권11 향엄지한(香嚴智閑) 03 (0) | 2025.02.03 |
전등록 권11 향엄지한(香嚴智閑) 02 (0) | 2025.02.03 |
전등록 권11 향엄지한(香嚴智閑) 01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