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演】 說法也 ▲五燈會元七雪峰義存 問 三乘十二分敎 爲凡夫開演 不爲凡夫開演 師曰 不消一曲楊柳枝 ▲祖堂集十三福先招慶 問 昔日靈山會 匿王請佛 今日招慶 太尉迎師 人天交接於坐隅 至理願垂於開演
개연(開演) 설법임. ▲오등회원7 설봉의존. 묻되 삼승십이분교는 범부를 위해 개연(開演)합니까, 범부를 위해 개연하지 않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한 곡조 양류지(楊柳枝; 漢代의 곡명)도 쓰이지 않는다. ▲조당집13 복선초경. 석일에 영산회에서 닉왕(匿王; 波斯匿王)이 불타에게 청했습니다. 금일 초경에서 태위가 스님을 영접하고 인천이 자리 모퉁이에 교접(交接)하였으니 지리(至理)를, 원하오니 개연(開演)을 내리십시오.
) -->
【開悟】 開智悟理 ▲五燈會元四古靈神贊 本州大中寺受業 後行脚遇百丈開悟
개오(開悟) 지혜를 열어 이치를 깨침. ▲오등회원4 고령신찬. 본주 대중사에서 수업했고 후에 행각하면서 백장을 만나 개오(開悟)했다.
) -->
【開浴】 開浴室也 寒月五日一浴 暑天每日沐汗 爲開浴告知於衆僧 於齋堂前掛開浴牌 ▲敕修淸規四知浴 凡遇開浴 齋前掛開浴牌
개욕(開浴) 욕실을 개방함. 추운 달에는 5일에 한 번 목욕하고 무더운 날에는 매일 땀을 씻음. 개욕하기 위해 중승에게 고지하려면 재당 앞에 개욕패를 걺. ▲칙수청규4 지욕. 무릇 개욕(開浴)을 만나면 재전에 개욕패를 건다.
) -->
【開浴牌】 報開浴所懸之牌 ▲百丈淸規四知浴 凡遇開浴 齋前掛開浴牌
개욕패(開浴牌) 개욕을 알리면서 거는 바의 패. ▲백장청규4 지욕. 무릇 개욕을 만나면 재전에 개욕패(開浴牌)를 건다.
【開元琦】 宋代僧子琦 嗣黃龍慧南 開元 院名 師爲第一世 [續傳燈錄十六] 參子琦
개원기(開元琦) 송대승 자기니 황룡혜남을 이었음. 개원은 원명(院名)이니 스님이 제1세가 됨 [속전등록16]. 자기(子琦)를 참조하라.
) -->
【開元譚】 宋代雲門宗僧智譚 住汀州開元寺 詳見智譚
개원담(開元譚) 송대 운문종승 지담이 정주 개원사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지담을 보라.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14쪽 (0) | 2019.05.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13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11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10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09쪽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