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일적

태화일적(泰華一滴) 36

태화당 2019. 6. 14. 08:54

36三分光陰早二過 *靈臺一點不揩磨 *區區逐日貪生去 喚不回頭怎奈何 宗門拈古彙集四十 雪竇爲道日損偈

 

삼분의 광음에 벌써 이()는 지나갔건만/ 영대(*靈臺)의 일점은 개마(揩磨)하지 못했네/ 구구(*區區)히 날을 쫓아 생을 탐해 가는지라/ 불러도 머리 돌리지 않으니 어찌하리오.

 

*靈臺; 일심ㆍ진여ㆍ불성을 가리킴. 치문경훈주상(緇門警訓註上). 영대(靈臺) ()이다. 장주(莊周; 莊子庚桑楚)가 가로되 만악(萬惡)이 가히 영대(靈臺)에 들어가지 못한다. 사마표(司馬彪)가 가로되 심()은 신령의 대()가 된다. 선주(選註)에 이르되 신통(神通)을 심부(心府)의 아래 기탁한다. 주심부1(註心賦一) 이 일심법(一心法)은 이 신해(神解)하는 자성이며 능히 통령통성(通靈通聖; 영에 통하고 성에 통하다)하는지라 고로 가로되 영대(靈臺)(此一心法 是神解之性 能通靈通聖 故曰靈臺).

*區區; 1. 분주하며 노록(勞碌; 게을리 하거나 쉬지 않고 꾸준히 힘을 다함). 2. 선림보훈음의(禪林寶訓音義) 구구(區區) 비굴임. 스스로 겸손함임(區區 卑屈也 自謙也). 이 글에선 1을 가리킴.

 

'태화일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일적(泰華一滴) 38  (0) 2019.06.16
태화일적(泰華一滴) 37  (0) 2019.06.15
태화일적(泰華一滴) 35  (0) 2019.06.13
태화일적(泰華一滴) 제34장(第三十四章)  (0) 2019.06.13
태화일적(泰華一滴) 33  (0) 201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