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35쪽

태화당 2019. 5. 4. 18:17

古田垕(?-1292) 元代楊岐派僧 嗣法杭州淨慈寺斷橋妙倫 初住揚州雍熙 遷廣德靈山 安吉鳳山 吉州東山 吳中虎丘 台州慧因 天寧 杭州中竺 晩年主淨慈 傳法於東澗珣 [續燈正統二十三 增集續傳燈錄五]

고전후(古田垕) (?-1292) 원대 양기파승. 항주 정자사 단교묘륜(斷橋妙倫)의 법을 이었음. 처음 양주의 옹희에 거주했다가 광덕의 영산ㆍ안길의 봉산ㆍ길주의 동산ㆍ오중의 호구ㆍ대주의 혜인과 천녕ㆍ항주의 중축으로 옮겼음. 만년에 정자를 주지(主持)하였으며 동간에게 법을 전했음 [속등정통23. 증집속전등록5].

 

苦切卽懇切 迫切 祖堂集二弘忍 行者(盧行者)見上座心意苦切 便向他說 靜思靜慮 不思善 不思惡 正與摩思不生時 還我本來明上座面目來

고절(苦切) 즉 간절. 박절(迫切). 조당집2 홍인. 행자(盧行者)가 상좌의 심의(心意)가 고절(苦切)함을 보고 곧 그를 향해 설하되 정사정려(靜思靜慮)하여 착함도 생각하지 말고 악함도 생각하지 말아라. 바로 이렇게 생각이 나지 않을 때 나에게 본래의 명상좌(明上座)의 면목을 송환하라

 

顧占同顧瞻 意卽回視 環視 祖堂集六洞山 僧曰 不與摩時如何 師曰 不顧占 僧云 不顧占 莫是和尙重處不 師曰 不顧占重什摩

고점(顧占) 고첨(顧瞻)과 같음. 뜻은 곧 회시(回視; 돌아봄). 환시(環視; 사방을 두루 둘러 봄). 조당집6 동산. 중이 가로되 이러하지 않을 때는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고점(顧占)하지 말아라. 중이 이르되 고점하지 않음은 곧 화상의 소중한 곳이 아닙니까. 스님이 가로되 고점하지 않거늘 소중함이란 무엇인가.

 

考亭考亭學派 以朱熹爲代表的理學學派 建陽考亭爲朱熹父朱松生前選定的居住地 [百度百科] 萬法歸心錄序 以廉洛考亭之學 闡菩提無上之宗

고정(考亭) 고정학파니 주희를 대표적인 이학학파(理學學派)로 삼음. 건양의 고정(考亭)은 주희의 아버지인 주송이 생전에 선정한 거주지가 됨 [백도백과]. 만법귀심록서. 염락(廉洛; 濂洛으로 의심됨)과 고정(考亭)의 학문으로 보리의 위없는 종()을 열다.

 

高亭唐代僧 得法於歸宗智常 宏化漢南 [五燈會元四 傳燈錄十]

고정(高亭) 당대승. 귀종지상에게서 득법하고 한남에서 크게 교화했음 [오등회원4. 전등록10].

 

高亭簡唐代襄州高亭簡禪師 德山宣鑑法嗣 [傳燈錄十六]

고정간(高亭簡) 당대 양주의 고정간선사니 덕산선감의 법사 [전등록16].

 

古庭堅明代臨濟宗僧善堅 字古庭 詳見善堅

고정견(古庭堅) 명대 임제종승 선견의 자가 고정이니 상세한 것은 선견(善堅)을 보라.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