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虛窓)黃國鎭
안이비각유소의(眼耳鼻各有所依)
설신의역유향방(舌身意亦有向方)
약득심식본래공(若得心識本來空)
무일사호애육창(無一絲毫碍六窓)
눈 귀 코는 각기 의지하는 바가 있고
혀 몸 뜻도 또한 향방이 있도다
만약 심식(心識)이 본래 공한 줄을 얻는다면
한 실터럭만큼도 육창(六窓)을 장애치 못하리라.
2~4행 빙(憑)은 기댈 빙. 의지할 빙. 육창(六窓)은 여기에선 눈 귀 코 혀 몸 뜻을 지칭함.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3년 희당(喜堂) (0) | 2019.08.01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3년 가경(嘉景)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3년 여련화(如蓮華)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3년 송암(松菴)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3년 사인행(思仁行) (0) | 201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