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3년 중추우음(仲秋偶吟)

태화당 2019. 8. 1. 09:07

중추우음(仲秋偶吟)

 

만산욕염홍(滿山欲染紅)

지수모벽한(池水模碧漢)

청령수지두(蜻蛉睡枝頭)

기엽수풍반(幾葉隨風反)

소요답경로(逍遙踏徑路)

야화쟁잔연(野花爭殘姸)

은궤탑연좌(隱几嗒然坐)

일욕락서현(日欲落西峴)

 

만산(滿山)이 붉게 물들려 하고

못물은 푸른 하늘을 닮아 가며

고추잠자리는 가지 끝에 졸고

몇 이파리는 바람 따라 펄럭이네.

소요하며 오솔길을 밟노라니

들꽃이 남은 예쁨을 다투고

안석(案席)에 기대어 탑연(嗒然)히 앉았노라니

해가 서산 고개에 지려 하는구나.

 

   제목 우()는 뜻밖에 우. ()은 읊을 음.

   1~8행 욕()은 하고자 할 욕. ()는 본뜰 모. ()은 은하수 한. 벽한(碧漢)은 푸른 하늘. 청령(蜻蛉)은 고추잠자리. ()은 잠자리 청. ()은 고추잠자리 령. ()는 몇 기. ()은 뒤집을 반. 뒤엎을 반. ()는 노닐 소. ()는 노닐 요. ()은 밟을 답. ()은 지름길(小路) . 경로(徑路)는 오솔길. 지름길. ()은 나머지 잔. ()은 고울 연. ()은 의지할 은. ()는 책상 궤. 안석 궤. ()은 우두커니 있을 탑. ()은 고개 현. 재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