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환(夢幻)
불법생요처(佛法省要處)
지재개몽환(祇在箇夢幻)
몽환몽환몽(夢幻夢幻夢)
환몽환몽환(幻夢幻夢幻)
십세고금시종불이어당념(十世古今始終不移於當念)
무변찰경자타불격어호단(無邊刹境自他不隔於毫端)
불법의 생요처(省要處)는
다만 저 몽환(夢幻)에 있나니
몽환몽환몽(夢幻夢幻夢)이요
환몽환몽환(幻夢幻夢幻)이로다.
십세고금(十世古今)의 시종이 당념(當念)을 떠나지 않고
무변찰경(無邊刹境)의 자타가 털끝만큼도 막히지 않도다.
1~2행 생(省)은 덜 생. 지(祇)는 다만 지. 지(祗), 지(秖)와 혼용함. 개(箇)는 대사(代詞)니 이(這), 저(那)의 뜻. 또 양사(量詞), 조사(助詞)로 쓰이며 용도가 많음. 양사 이외는 한글로 번역하기 어려운 글자임.
5~6행은 이장자(李長子)의 화엄론수서문(華嚴論首敍文)에 나오는 말. 십세(十世)는 거래금(去來今)에 각 삼세(三世)가 있고 현재의 일념(一念)을 합쳐 십세(十世)라 함.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협산어착어(夾山語著語) (0) | 2019.08.01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이롱토설(耳聾吐舌)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막효빈(莫效顰)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직지(直指)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1997년 본공(本空) (0) | 201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