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종(有終)
일락광유황(日落光愈恍)
화락향유형(花落香愈馨)
화개일출시(花開日出時)
불여임귀향(不如臨歸鄕)
조사명유량(鳥死鳴猶凉)
인사한유장(人死恨猶長)
망망우주내(茫茫宇宙內)
나개여인종(那箇如人終)
해가 질 적에 빛이 더욱 황홀하고
꽃이 질 적에 향이 더욱 향기롭나니
꽃이 필 때와 해가 떠오를 때가
귀향에 임함만 같지 못하느니라.
새가 죽을 적에 울음이 오히려 처량하고
사람이 죽을 적에 한이 오히려 장구하나니
망망한 우주 안에
어느 것이 사람의 임종만 같으랴.
제목 유종(有終)은 유종(有終)의 미(美)를 일컬음.
1~8행 유(愈)는 더욱 유. 황(恍)은 황홀(恍惚)할 황. 형(馨)은 향기 멀리 퍼질 형. 귀향(歸鄕)이란 여기에선 해가 서산으로 지고 꽃이 땅에 떨어짐을 가리킴. 유(猶)는 오히려 유. 망(茫)은 아득할 망. 나(那)는 어찌 나. 어느 것 나.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전심(傳心) (0) | 2019.08.02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학도(學道)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혹서유감(酷暑有感)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이제각력(二帝角力)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보석사(寶石寺)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