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참(實參)
) -->
유승힐아무실참(有僧詰我無實參)
아문실시지심마(我問實是指甚麽)
약불일도한협배(若不一度汗浹背)
미면니리전하마(未免泥裏?蝦蟆)
) -->
어떤 중이 나에게 힐난(詰難)하여 실참(實參)이 없다 하므로
내가 묻되 실(實)은 이 무엇을 가리킴이냐 했거니와
만약 한 번 땀이 등에 사무치지 않으면
진흙 속에 허우적거리는 두꺼비를 면치 못하리라.
) -->
제목 실참(實參)이란 실답게 참구하는 것.
1~3행 힐(詰)은 힐난할 힐. 꾸짖을 힐. 심(甚)은 무엇 심, 보통 삼으로 발음함. 마(麽)는 무엇 마. 어조사 마. 도(度)는 차례 도. 한(汗)은 땀 한. 협(浹)은 사무칠 협. 둘릴 협. 별안간 한 번 온몸에 땀 흘림을 얻어야 곧 묵묵히 스스로 머리를 끄덕이리라 (驀得一回通身汗流 則默默自點頭矣) [朝鮮佛敎通史 中篇 懶翁語].
4행 니(泥)는 진흙 니. 리(裏)는 속 리. 전(?)은 말 땅에 구를 전. 하(蝦)는 두꺼비 하. 마(蟆)는 두꺼비 마. 하마(蝦蟆)는 청개구리 또는 두꺼비. 고래를 낚아 큰 물결을 맑힘에 익숙한지라 도리어 개구리 걸음으로 진흙 모래에 허우적거림을 슬퍼하노라 (慣釣鯨鯢澄巨浸 却嗟蛙步?泥沙) [碧巖錄卷四 三十八則 風穴延沼語].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태분명(太分明) (0) | 2019.08.02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실오(實悟)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야무(一也無)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백납회(百衲會)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사대활(大死大活)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