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농음(仲冬弄吟)
) -->
불로전초불뇌문(不勞剪艸不惱蚊)
불피불곤불습한(不疲不困不濕汗)
시천곡부우유주(柴賤穀阜又有酒)
중동풍설야한한(仲冬風雪也閑閑)
청령책맹몰나방(蜻蛉蚱蜢沒那方)
의자문자하처준(蟻子蚊子何處蠢)
세구노요지기량(歲久路遙知技倆)
신타혜고부지춘(哂他蟪蛄不知春)
) -->
풀을 베는 수고도 아니하고 모기에 성가시지도 않고
피로하지도 않고 피곤하지도 않고 습한(濕汗)치도 않는데
땔감은 흔하고 곡식은 많고 또 술도 있나니
중동(仲冬)의 풍설(風雪)에 또한 한가롭기만 하도다.
고추잠자리와 메뚜기는 어느 방면에 잠몰(潛沒)했으며
개미와 모기는 어느 곳에서 꿈틀거리는가
세월이 오래되고 길이 멀어야 기량을 아나니
저 쓰르라미의 봄을 알지 못함을 비웃노라.
) -->
제목 해석 중동(仲冬)에 희롱삼아 읊음.
1~8행 전(剪)은 벨 전. 천(賤)은 천할 천. 흔할 천. 부(阜)는 언덕 부. 많을 부. 준(蠢)은 꿈틀거릴 준. 청령(蜻蛉)은 고추잠자리. 청(蜻)은 잠자리 청. 령(蛉)은 고추잠자리 령. 책맹(蚱蜢)은 메뚜기 비슷한 곤충. 책(蚱)은 메뚜기 책. 맹(蜢)은 메뚜기 맹. 의자(蟻子)는 개미. 자(子)는 조자(助字). 문자(蚊子)는 모기. 자(子)는 조자(助字). 요(遙)는 멀 요. 기(技)는 재주 기. 량(倆)은 재주 량. 혜고(蟪蛄)는 쓰르라미. 혜(蟪)는 쓰르라미 혜. 고(蛄)는 쓰르라미 고. 조균(朝菌. 아침에 났다가 저녁에 사라지는 버섯)은 회삭(晦朔. 초하루에서 그믐까지의 한 달)을 알지 못하고 쓰르라미는 춘추(春秋)를 알지 못한다 (朝菌不知晦朔 蟪蛄不知春秋) [莊子內篇 逍遙遊].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분망(奔忙) (0) | 2019.08.04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암중행(暗中行)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식등(食等)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인불여구(人不如舊)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동지선지(冬枝先知) (0) | 2019.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