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불여구(人不如舊)
) -->
금불여석고래동(今不如昔古來同)
신구한문건려응(神駒罕聞蹇驢應)
인의구구물구신(人宜求舊物求新)
뇌유고서위준승(賴有古書爲準繩)
정화낙후갱유춘(庭花落後更有春)
현성일거불상우(賢聖一去不相遇)
마강법약말계시(魔强法弱末季時)
모고민금탄식구(慕古愍今歎息久)
) -->
금인(今人)이 석인(昔人) 같지 못함은 고래(古來)로 한가지라
신구(神駒)는 듣기 드물고 건려(蹇驢)가 상응하네
사람은 마땅히 옛사람을 구하고 물건은 새것을 구해야 하나니
다행히 고서(古書)가 있어 준승(準繩)이 되도다.
정화(庭花)는 떨어진 후 다시 봄이 있지만
현성(賢聖)은 한 번 가면 만나지 못하나니
마(魔)가 강하고 법(法)이 약한 말계(末季)의 시절에
고인을 사모하고 금인을 애민히 여겨 탄식을 길게 하노라.
) -->
제목 해석 사람은 옛사람만 같지 못함.
2~8행 구(駒)는 망아지 구. 한(罕)은 드물 한. 건(蹇)은 절뚝발이 건. 려(驢)는 나귀 려. 사람은 마땅히 옛사람을 구하고 물건은 마땅히 새 것을 구하라 (人宜求舊 物宜求新) 란 말이 있음. 뢰(賴)는 힘입을 뢰. 다행할 뢰. 믿을 뢰. 준승(準繩)은 규구준승(規矩準繩)의 준말이니 사물의 표준. 규(規)는 그림쇠. 구(矩)는 곡척(曲尺). 준(準)은 수준기. 승(繩)은 먹줄. 계(季)는 끝 계. 말세 계. 말계(末季)는 말세. 민(愍)은 불쌍할 민.
) -->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중동농음(仲冬弄吟) (0) | 2019.08.04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식등(食等)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동지선지(冬枝先知)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반본환원(返本還源) (0) | 2019.08.04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휴(休) (0) | 2019.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