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시(霅時)
) -->
급수착안간선인(急須著眼看仙人)
막간선인수중선(莫看仙人手中扇)
적면당기질여전(覿面當機疾如電)
타갱낙참삽시언(墮坑落塹霅時焉)
직수식취파침인(直須識取把針人)
막도원앙호모우(莫道鴛鴦好毛羽)
석화광중일도처(石火光中一度覰)
돈각삼천일모리(頓覺三千一毛裏)
) -->
급히 선인(仙人)을 착안(著眼)하여 봄을 쓰고
선인의 수중(手中)의 부채를 보지 말아라
적면(覿面)의 당기(當機)가 빠르기가 번개 같나니
타갱낙참(墮坑落塹)이 삽시(霅時)이니라.
원앙의 아름다운 깃털을 말하지 말고
바로 모름지기 바늘을 잡은 사람을 식취(識取)하라
석화광중(石火光中)에 한 번 엿본다면
문득 삼천(三千)이 한 터럭 속임을 깨치리라.
) -->
제목 삽(霅)은 아주 짧은 시간을 표현하는 글자. 삽(霎)으로 표기(表記)하기도 함.
1~2행은 석계심월선사잡록(石溪心月禪師雜錄)에 나오는 구절.
3~4행 적(覿)은 볼 적. 적면(覿面)은 대면(對面)의 뜻. 질(疾)은 빠를 질. 갱(坑)은 구덩이 갱. 참(塹)은 구덩이 참.
5~6행 오등전서권사십삼(五燈全書卷四十三) 화엄조각장(華嚴祖覺章)에 이르되 바로 모름지기 바늘을 잡은 사람을 식취하고 원앙의 아름다운 깃털을 말하지 말아라 (直須識取把針人 莫道鴛鴦好毛羽). 식취(識取)의 취(取)는 조자(助字).
7~8행 처(覰)는 엿볼 처. 삼천(三千)은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영산별후(靈山別後) (0) | 2019.08.08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만추(晩秋) (0) | 2019.08.08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하파주(下坡走) (0) | 2019.08.08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여초(如初) (0) | 2019.08.08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희유(希有) (0) | 2019.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