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유감(剪枝有感)
) -->
잔지향목익청분(剗枝香木益靑芬)
체발오로유첨반(剃髮吾顱愈添斑)
첨청첨백리여하(添靑添白理如何)
건삼련혜곤육단(乾三連兮坤六斷)
) -->
향나무의 가지를 깎으니 푸름과 향기를 더하고
내 머리의 터럭을 깎으니 더욱 아롱을 더하네
푸름을 더하고 흼을 더하는 이치가 어떠한가 하면
건(乾)은 삼련(三連)이요 곤(坤)은 육단(六斷)이라 하노라.
) -->
제목 전(剪)은 싹 벨(齊斷) 전. 가위 전.
1~4행 잔(剗)은 깎을 잔. 분(芬)은 향기 분. 체(剃)는 털 깎을 체. 로(顱)는 머리 로. 해골 로. 반(斑)은 아롱질 반. 여기에선 반발(斑髮. 흰 털이 섞인 머리)을 가리킴. 건삼련(乾三連)은 건괘(乾卦. ☰)의 상형(象形). 곤육단(坤六斷)은 곤괘(坤卦. ☷)의 상형(象形).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장식(裝飾) (0) | 2019.08.08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삼년기만입서우반도유감(三年期滿立誓遇半塗有感) (0) | 2019.08.08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학보(學步) (0) | 2019.08.08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일시(一時) (0) | 2019.08.08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금강지(金剛智) (0) | 2019.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