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睫)
) -->
첩재목전장불견(睫在目前長不見)
도비물외갱하구(道非物外更何求)
화종애석빈빈락(花從哀惜頻頻落)
초축기혐삭삭추(艸逐棄嫌數數抽)
) -->
속눈썹이 눈 앞에 있지만 늘 보이지 않고
도가 사물 밖이 아니거늘 다시 어찌 구하랴
꽃은 애석(哀惜)을 좇아 자주자주 떨어지고
풀은 기혐(棄嫌)을 따라 자주자주 돋더라.
) -->
제목 첩(睫)은 속눈썹 첩.
1~2행은 건중정국속등록권팔(建中靖國續燈錄卷八)에 나오는 구절. 장(長)은 늘 장.
3~4행 꽃은 애석(哀惜)을 좇아 떨어지고 풀은 기혐(棄嫌)을 따라 난다 (花從哀惜落 草逐棄嫌生) [建中靖國續燈錄卷十一]. 빈(頻)은 자주 빈. 초(艸)는 초(草)와 같음. 축(逐)은 쫓을 축. 따를(隨) 축. 혐(嫌)은 의심할 혐. 싫어할 혐. 삭(數)은 자주 삭. 추(抽)는 뺄 추.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저자(猪子) (0) | 2019.08.09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내외(內外) (0) | 2019.08.09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중춘대설(仲春大雪) (0) | 2019.08.09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설두오유(雪竇悟由) (0) | 2019.08.09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심주(心珠) (0) | 201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