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합산(合散)

태화당 2019. 8. 9. 08:43

합산(合散)

) --> 

이불생생위생의(以不生生爲生義)

이불사사위사의(以不死死爲死義)

인지이도인지기(因地而倒因地起)

화합이산수소의(和合離散隨所宜)

) --> 

불생생(不生生)으로써 생()의 뜻을 삼고

불사사(不死死)로써 사()의 뜻을 삼나니

땅을 인해 꺼꾸러졌다가 땅을 인해 일어나므로

화합(和合)과 이산(離散)이 소의(所宜)를 따르도다.

) --> 

제목 화합(和合)과 이산(離散).

1~2행 문수(文殊)가 암제차녀(菴提遮女)에게 물어 가로되 생()은 무엇으로써 뜻을 삼느냐. ()가 가로되 생()은 불생생(不生生. 不生)으로써 생()의 뜻이 되느니라. 문수가 가로되 어떤 것이 이 생()은 불생생(不生生)으로써 생()의 뜻이 되는가. ()가 가로되 만약 능히 지수화풍(地水火風)의 사연(四緣)이 일찍이 스스로 화합(和合)하는 바 있음을 얻지 못하면서도 능히 그 소의(所宜)를 따르는 줄 밝게 안다면 이것이 생()의 뜻이 되느니라. 문수가 가로되 사()는 무엇으로써 뜻을 삼느냐. ()가 가로되 사()는 불사사(不死死. 不死)로써 사()의 뜻이 되느니라. 문수가 가로되 어떤 것이 이 사()는 불사사(不死死)로써 사()의 뜻이 되는가. ()가 가로되 만약 능히 지수화풍(地水和風)의 사연(四緣)이 일찍이 스스로 이산(離散)하는 바 있음을 얻지 못하면서도 능히 그 소의(所宜)를 따르는 줄 밝게 안다면 이것이 사()의 뜻이 되느니라 [五燈全書卷二].

4행 소의(所宜)는 마땅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