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理】 敎法之道理 ▲惟則語錄八 別傳之學雖曰敎外 然亦未甞外乎敎理
교리(敎理) 교법의 도리. ▲유칙어록8. 별전의 학문을 비록 가로되 교외라 하지만 그러나 또한 일찍이 교리(敎理)를 제외하지 않는다.
) -->
【敎理行果】 自力聖道門修證得果之次第 敎爲佛陀之言敎 理爲敎中所說法之道理 行爲順其道理而修行 果爲由其修行之因而得之證果 ▲法演語錄中 五千四十八卷 敎理行果成見
교리행과(敎理行果) 자력의 성도문(聖道門)에서 수증하여 과를 얻는 차제임. 교(敎)는 불타의 언교가 되며 리(理)는 교중에서 설하는 바 법의 도리가 되며 행(行)은 그 도리를 따라 수행함이 되며 과(果)는 그 수행의 인을 말미암아 얻는 증과(證果)가 됨. ▲법연어록중. 5,048권이 교리행과(敎理行果)의 견해를 이룬다.
) -->
【憍慢】 自高凌物之心也 ▲宗鏡錄七十八 遠離憍慢心 除滅世間想
교만(憍慢) 스스로 높은 체하며 사람을 업신여기는 마음임. ▲종경록78. 교만(憍慢)한 마음을 원리하고 세간의 사상을 제멸(除滅)하라.
) -->
【敎網】 衆生譬魚 佛之敎譬網 ▲黃檗傳心法要 三乘敎網 秖是應機之藥
교망(敎網) 중생을 물고기에 비유하고 불타의 교를 그물에 비유함. ▲황벽전심법요. 3승(乘)의 교망(敎網)은 다만 응기(應機)의 약이다.
) -->
【蕎麥】 別名甜蕎 烏麥 三角麥等 一年生草本植物 莖赤質柔 花色白或淡紅 果瘦三角形 有棱 子實磨成粉可制麵食 [百度漢語 百度百科] ▲雜毒海八 蕎麥花開曉日晴
교맥(蕎麥) 별명이 첨교ㆍ오맥ㆍ삼각맥 등이며 일년생 초본식물임. 줄기는 붉고 바탕은 부드러우며 화색은 희거나 혹은 담홍이며 과실은 마르면서 삼각형이며 모가 있음. 자실(子實; 종자)은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가히 면식을 만듦 [백도한어. 백도백과]. ▲잡독해8. 교맥화(蕎麥花)가 피니 효일(曉日; 아침에 돋는 해)이 맑다.
) -->
【敎命】 敎誡命令 ▲御製揀魔辨異錄二 應發如王子心 遵行敎命故
교명(敎命) 교계(敎誡)의 명령. ▲어제간마변이록2. 응당 왕자와 같은 마음을 냄은 교명(敎命)을 준행하는 연고이다.
) -->
【鮫目淚流】 從容錄第九十則云 任昉述異記 南海鮫人 水居如魚 不廢機織 泣泪成珠 ▲禪林類聚五天童覺 心安如海 膽量如斗 鮫目淚流 蚌腸珠剖
교목루류(鮫目淚流) 종용록 제90칙에 이르되 임방 술이기 남해의 교인(鮫人; 물 속에 산다는 괴상한 사람)은 물고기와 같이 물에 살며 베틀로 베를 짬을 폐하지 않는데 울어 눈물을 흘리면 구슬을 이룬다. ▲선림류취5 천동각. 마음의 안정은 바다와 같고/ 담량(膽量)은 말과 같고/ 교목이 눈물 흘리고(鮫目淚流)/ 방합의 창자에 구슬을 쪼갠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3쪽 (0) | 2019.05.0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2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70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69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68쪽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