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송구집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8획 空外之靑山善走

태화당 2019. 8. 30. 10:36

空外之靑山善走 江間之白浪不流 爲霖還山錄一

허공 밖의 청산이 잘 달리고 강 사이의 흰 파랑이 흐르지 않는다.

) --> 

空中撮影非爲玅 物外追蹤豈俊機 禪家龜鑑

공중에서 그림자를 잡음도 묘가 되지 않거늘 사물 밖에 자취를 쫓음이 어찌 俊機리오.


은 잡을 촬. 와 같음.

) --> 

肱枕綠蘿形影絶 献花百鳥自空忙 希叟紹曇廣錄一

녹라에 팔뚝을 베개하니 형체와 그림자가 끊겼거늘 꽃을 바치는 百鳥가 스스로 공연히 바쁘다.


는 새삼 넌출 라. 담쟁이 넌출 라.

) --> 

狗子尾巴書卍字 野狐窟宅梵王家 了菴淸欲錄二

개의 꼬리가 卍字를 쓰고 들여우 굴택이 범왕의 집이로다.

는 꼬리 파.

) --> 

狗子尾巴書梵字 野狐窟宅梵王宮 應菴曇華錄六

개의 꼬리가 梵字를 쓰고 들여우 굴택이 梵王이로다.


金剛努目常相對 彌勒呵呵笑不休 爲霖餐香錄上

금강은 성난 눈으로 늘 상대하거늘 미륵은 하하하며 웃음을 쉬지 않네.


金剛金剛力士. 또는 四大金剛. 는 힘쓸 노. 努目은 성을 내어 눈을 부라림.

) --> 

金剛寶劍當頭截 莫管人間是與非 大慧普覺錄二十四

금강보검이 머리에 당해 자르는지라 인간의 에 상관하지 않는다.


金剛覿面親分付 語道分明好好陳 人天眼目一

금강이 적면하여 친히 분부하니 語道가 분명하여 아주 아름답게 陳述하다.

) --> 

金鷄飛上玉闌干 一聲啼破千峯曉 平石如砥錄

금계가 옥난간에 비상하여 한 소리의 울음에 千峯의 새벽을 깨뜨리다.

) --> 

金鷄啄破琉璃殼 玉兎挨開碧海門 拈八方珠玉集下

금계는 유리 껍질을 쪼아 깨뜨리고 옥토는 푸른 바다의 문을 밀쳐 열다.


는 밀칠 애.

) --> 

金鷄啄破瑠璃卵 玉兎挨開碧落門 宏智錄四

금계는 유리알을 쪼아 깨뜨리고 옥토는 푸른 하늘의 문을 밀쳐 열다.


碧落은 푸른 하늘. 은 울타리 락.

) --> 

金鷄抱子歸霄漢 玉兎懷胎入紫微 傳燈錄十六 鳳棲同安語

금계는 새끼를 안고 하늘로 돌아갔는데 옥토는 태를 품고 자미궁에 들어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