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84쪽

태화당 2019. 5. 9. 08:57

奎章閣元代奎章閣 又稱宣文閣 元文宗天曆二年(1329)三月 建奎章閣於大內 陳列珍玩 儲藏書籍 元順帝至元六年(1340)罷 七年改爲宣文閣 後又改爲端本堂 [百度百科] 五燈全書五十五笑隱大訢 復驛召赴闕 見上奎章閣

규장각(奎章閣) 원대 규장각은 또 명칭이 선문각임. 원 문종 천력 2(13 29) 3, 대내(大內; 황궁을 가리킴)에 규장각을 건립해 진완(珍玩; 진기한 노리개)을 진열하고 서적을 저장(儲藏; 貯藏)했음. 원 순제 지원 6(1340)에 마치고 7년에 고쳐 선문각이라 했으며 후에 또 고쳐 단본당이라 했음 [백도백과] 오등전서55 소은대흔. 다시 역말로 불러 대궐에 다다랐으며 주상을 규장각(奎章閣)에서 뵈었다.

) --> 

圭撮禪林疏語考證四 前律曆志曰 不失圭撮 註 應劭曰 圭 自然之形 陰陽之始 四圭曰撮 三指撮之 禪林疏語考證四 修茲圭撮之微善 仰答洪濛之巨恩 緇門警訓註中 六十四黍爲一圭 四圭爲一撮 又兩指爲一撮 緇門警訓六 住持老僧沿門求 丐士緣化圭撮收

규촬(圭撮) 선림소어고증4. 전한 율력지에 가로되 규촬(圭撮)을 잃지 않다. () 응소가 가로되 규()는 자연적인 형상이며 음양의 시작이다. 4()를 가로되 촬()이니 세 손가락으로 그것을 쥔다. 선림소어고증4. 이 규촬(圭撮)의 작은 선업을 닦아 홍몽(洪濛; 1. 천지가 형성되기 전의 혼돈상태. 2. 우주. 허공)의 거은(巨恩)에 앙답하다. 치문경훈주중. 64()1()가 되고 4규가 1()이 된다. 또 두 손가락이 1촬이 된다. 치문경훈6. 주지노승이 문을 따라 구걸하고 개사(丐士)가 연화(緣化)하며 규촬(圭撮)을 거둔다.

) --> 

窺測禪林疏語考證四 窺測 東方朔傳曰 以管窺天 以蠡測海 禪林疏語考證四 毘盧海未可名言 華藏門不容窺測

규측(窺測) 선림소어고증4. 규측(窺測) 동방삭전에 가로되 대롱으로 하늘을 엿보고 표주박으로 바다를 측량한다. 선림소어고증4. 비로해(毘盧海)는 가히 언어로 이름하지 못하고 화장문(華藏門)은 규측(窺測)을 용납하지 않는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