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87쪽

태화당 2019. 5. 9. 08:59

均提文殊之侍者名 禪門拈頌集第一四三六則 大覺璉頌 前三三與後三三 且問均提作麽諳 一拍迴頭是多小 嵓西鍾皷過山南

균제(均提) 문수의 시자의 이름. 선문염송집 제1436. 대각련이 송하되 전삼삼과 후삼삼을/ 다만 균제(均提)에게 어떻게 아느냐고 물었다/ 한 번 두드리고 회두(迴頭)하며 이 얼마인고 하니/ 바위 서쪽의 종과 북이 산의 남쪽에 이르렀다.

) --> 

均提童子文殊之侍者 禪林類聚三 無著禪師因往五臺禮文殊 因告辭 文殊命均提童子送出門首 師問此寺是何名額 童子指金剛背後 師回首 寺與童子俱隱沒 只見荒草空谷

균제동자(均提童子) 문수의 시자. 선림류취3. 무착선사가 오대산에 감으로 인해 문수에게 예배했다. 고별을 고함으로 인해 문수가 균제동자(均提童子)에게 명령해 문수까지 송출하게 했다. 스님이 묻되 이 절은 이 무슨 이름의 현판인가. 동자가 금강의 배후를 가리켰다. 스님이 머리를 돌리자 절과 동자가 모두 은몰하고 다만 거친 풀 속의 빈 계곡만 보였다.

) --> 

筠州江西筠州 轄境約當今江西省高安上高新昌等縣地 唐代筠州 宋改瑞州 古今韻會擧要 瑞 州名 本唐筠州 (中略)宋改瑞州

균주(筠州) 강서 균주니 관할한 경계는 약 당금의 강서성 고안ㆍ상고ㆍ신창 등의 현지(縣地). 당대의 균주를 송은 서주로 고쳤음. 고금운회거요. () 주의 이름이다. 본래 당의 균주였다 (중략) 송에서 서주로 고쳤다.

) --> 

均州卽今湖北省丹江口市

균주(均州) 즉금의 호북성 단강구시.

) --> 

鈞旨秉鈞軸故其旨令曰鈞旨 參鈞軸 虛堂語錄一 承相公鈞旨

균지(鈞旨) 균축(鈞軸; 국정)을 잡은 고로 그의 지령(旨令)을 가로되 균지라 함. 균축을 참조하라. 허당어록1. 상공의 균지(鈞旨)를 받들다.

) --> 

鈞天九天之一 祖庭事苑五 九天者 中央鈞天 東方蒼天 東北方玄天 西北幽天 西方浩天 西南朱天 南方炎天 東南陽天 其說見淮南子(天文訓) 禪門拈頌集第九二九則 心聞賁頌 鈞天雅奏響雲端 夜燭光分萬點寒 玉輦不穿衢市過 佳人休更倚樓看

균천(鈞天) 9천의 하나. 조정사원5. 9천이란 것은 중앙은 균천(鈞天)이며 동방은 창천이며 동북방은 현천이며 서북은 유천이며 서방은 호천이며 서남은 주천이며 남방은 염천이며 동남은 양천이다. 그 설은 회남자(천문훈)를 보라. 선문염송집제929. 심문분이 송하되 균천(鈞天)의 우아한 연주가 구름 끝에 울리고/ 밤 촛불의 빛이 만 점으로 나뉘어 차갑다/ 옥련(玉輦)은 네거리 시가를 뚫고 지나가지 않았으니/ 가인(佳人)은 다시 누각에 기대어 봄을 그쳐라.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