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尅期】 在嚴格規定的期限內 尅 同剋 ▲五燈會元十三瑞龍幼璋 尅期順寂 ▲雜毒海八 一夏悠悠今已半 尅期取證事如何
극기(尅期) 엄격한 규정의 기한 내에 있음. 극(尅)은 극(剋)과 같음. ▲오등회원13 서룡유장. 극기(尅期)에 순적(順寂)했다. ▲잡독해8. 1하(夏)가 유유(悠悠)하더니 오늘은 이미 반이다. 극기(尅期)하여 취증(取證)하는 일이 어떠한가.
) -->
【克己復禮】 緇門警訓註下 論語 顔回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克 勝也 己 身之私欲也 復 反也 禮 天理之節文也 言爲仁者 勝私欲而反乎理之節文也 ▲緇門警訓七 容衆尊賢克己復禮
극기복례(克己復禮) 치문경훈주하. 논어 안회가 인(仁)을 묻자 공자가 가로되 극기복례(克己復禮)함이 인이 된다. 극(克)은 승(勝)이며 기(己)는 몸의 사욕이며 복(復)은 반(反)이며 례(禮)는 천리(天理)의 절문(節文: 예절에 관한 규칙이나 규범)임. 말하자면 인(仁)이라 하는 것은 사욕을 이기고 천리의 절문으로 돌아감임. ▲치문경훈7. 대중을 용납하고 현인을 존중하며 극기복례(克己復禮)한다.
) -->
【剋期取證】 又作克期取證 剋期 卽限定日期之意 意謂限定日期 辦道修行 以期得佛果 ▲虛堂語錄一 只如入花街穿柳巷 波波挈挈過了九旬 剋期取證 又作麽生
극기취증(剋期取證) 또 극기취증(克期取證)으로 지음. 극기는 곧 한정된 일기(日期; 날짜. 기간)의 뜻. 뜻으로 이르자면 한정된 일기에 판도(辦道; 좌선 따위의 수행으로 도를 깨달음)하고 수행하여 불과를 기득(期得; 기약)함임. ▲허당어록1. 지여 화가(花街)에 들고 유항(柳巷)을 통과하면서 파파계계(波波挈挈)하며 9순(九旬; 90일)을 지나버렸다면 극기취증(剋期取證)은 또 어떠한가.
) -->
【克念】 克服念頭 ▲緇門警訓一 惟狂克念作聖 惟聖罔念作狂
극념(克念) 염두를 극복함. ▲치문경훈1. 광인(狂人)이 극념(克念)하면 성인이 되고 성인이 망념(罔念)하면 광인이 된다.
) -->
【劇談】 猶暢談 ▲宏智廣錄七 枯坐淸嚴 眞宗劇談
극담(劇談) 창담(暢談; 후련하게 이야기 함)과 같음. ▲굉지광록7. 고좌(枯坐; 우두커니 앉아 있음)하니 청엄(淸嚴)하고 진종(眞宗)을 극담(劇談)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4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3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90-991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8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88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