聽氷
迖체佂記云 河冰人須狐聽而行▶迖佂은 마땅히 述征으로 지어야 함.
) -->
述征記(晉나라의 郭緣生 지음)에 이르되 강하가 얼면 사람이 반드시 여우처럼 듣고서 행해야 한다.
) -->
運州
當作鄆운 音運
) -->
마땅히 鄆으로 지어야 하나니 음이 運임.
) -->
綣繢▶綣은 굽을(屈) 권. 繢는 수놓을 궤. 원음이 회.
當作圈䙡괴회 上去園切 屈木也 下丘媿切 紐也 綣繢 非義
) -->
마땅히 圈䙡(圈은 채 그릇 권. 둥글 권. 䙡는 매듭 괴. 수놓을 회)로 지어야 함. 上은 去園切이니 屈木이며 下는 丘媿切이니 紐(맺을 뉴)임. 綣繢는 뜻이 아님.
) -->
鼻孔遼天▶遼는 멀 료.
遼 當作撩 撩取也 昂視之貌 遼 遠也 非義
) -->
遼는 마땅히 撩(취할 료)로 지어야 하나니 撩取며 昂視(昂은 높을 앙. 밝을 앙)하는 모양임. 遼는 遠이니 뜻이 아님.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下 11 절반렬삼(折半烈三) 문수해탈(文殊解脫) (0) | 2019.09.03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下 10 야차설반게(夜叉說半偈)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下 8 마사타(摩斯吒)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下 7 국사문경(國師問經)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下 6 생(眚) 불닉(不溺) 임마(恁麽)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