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08쪽

태화당 2019. 5. 9. 09:27

根本煩惱又曰本惑 本煩惱 謂大乘百法中貪 瞋 癡 慢 疑 惡見之六大煩惱也 無異廣錄二十一 惡世有情 生無慧目 從無始已來 根本煩惱俱生無明 從劫至劫 不能暫捨

근본번뇌(根本煩惱) 또 가로되 본혹ㆍ본번뇌임. 이르자면 대승 백법 중에 탐ㆍ진ㆍ치ㆍ만ㆍ의ㆍ악견의 6대번뇌임. 무이광록21. 악세의 유정은 태어나면서 혜목이 없다. 무시 이래로부터 근본번뇌(根本煩惱)가 무명과 함께 나서 겁으로부터 겁에 이르기까지 능히 잠시도 버리지 못한다.

) --> 

根本法輪三論宗吉藏所立三法輪之一 指華嚴經之說法 謂佛初成道有華嚴之會 其時純爲菩薩開一因一果之法門 此爲根本之敎 然薄福鈍根之流 無法會得悟入 佛乃應機而化 故別有五時說法之演布 [法華遊意上] 爲霖道霈餐香錄上 若識得無生心體 則在在處處 恒轉根本法輪 刹刹塵塵 盡闡舍那心地

근본법륜(根本法輪) 삼론종 길장(吉藏)이 세운 바 3법륜의 하나. 화엄경의 설법을 가리킴. 이르자면 불타가 처음 성도하여 화엄의 회()가 있었으니 그때는 순전히 보살을 위해 11(一因一果)의 법문을 열었는데 이것이 근본의 교가 됨. 그러나 박복하고 둔근의 무리는 회득하고 오입할 방법이 없는지라 불타가 이에 응기하여 교화했으니 고로 따로 5() 설법의 연포(演布)가 있음 [법화유의상]. 위림도패찬향록상. 만약 무생의 심체를 식득하면 곧 재재처처에 항상 근본법륜(根本法輪)을 굴리고 찰찰진진에 모두 사나(舍那)의 마음을 연다.


根本識阿賴耶識之異名 註心賦四 阿賴耶 是梵語 此云我愛執藏 卽是一切衆生第八根本識心

근본식(根本識) 아뢰야식의 다른 이름. 주심부4. 아뢰야 이는 범어이다. 여기에선 이르되 아애집장(我愛執藏)이니 곧 이 일체중생의 제8 근본식심(根本識心)이다.

) --> 

根本心三心之一 謂無明地 與彼四住煩惱爲本 故名本心 障佛眞身 菩薩修習勝拔之道 滅此本心 故得眞身 [大乘義章十九] 宗鏡錄八十九 是以轉滅三心得三身 一根本心 卽第八識 轉得法身 二依本心 卽第七識 轉得報身 三起事心 卽前六識 轉得化身

근본심(根本心) 3심의 하나. 이르자면 무명지(無明地)가 저 사주번뇌(四住煩惱)와 더불어 근본이 되므로 고로 이름이 본심이니 부처의 진신을 가림. 보살이 승발(勝拔)의 도를 수습하여 이 본심을 없애는지라 고로 진신을 얻음 [대승의장19]. 종경록89. 이런 까닭으로 전()하여 3()을 없애면 3()을 얻는다. 1은 근본심(根本心)이니 곧 제8식이며 전()하여 법신을 얻는다. 2는 의본심(依本心)이니 곧 제7식이며 전()하여 보신을 얻는다. 3은 기사심(起事心)이니 곧 앞의 6식이며 전()하여 화신을 얻는다.

) -->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