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자역주 조정사원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2 척당(倜儻) 매호병(買餬餅)

태화당 2019. 9. 3. 09:21

倜儻은 뛰어날 척. 은 빼어날 당.

上它歷切 下它郞切 大節非常也

) --> 

它歷切이며 它郞切이니 큰 節槪인지라 범상치 않음임.

) --> 

買餬餅는 풀칠할 호. 寄食할 호.

餬當作胡 胡虜之總稱 用胡麻作餅 故曰胡餅 故釋名曰 胡餅 言以胡麻著之也 前趙錄云 石季龍諱胡 改爲麻餅 胡麻 卽油麻也 餬 寄食也 非義

) --> 

는 마땅히 로 지어야 하나니 胡虜(중국인이 중국 북방의 異民族을 일컫는 말. 匈奴를 가리킴. 또 외국인을 얕잡아 이르는 말)總稱. 胡麻(는 깨 마)를 써서 을 만들므로 고로 가로되 胡餅. 고로 釋名(釋飮食)에 가로되 胡餅은 말하자면 胡麻를 그것에 붙인 것이다. 前趙(304-329. 五胡十六國의 하나)에 이르되 石季龍이므로 고쳐 麻餅이라 했다(前趙石氏後趙에게 했음. 後趙로 의심됨). 胡麻는 곧 油麻. 寄食이니 뜻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