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자역주 조정사원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雪竇後錄 9 세사유유(世事悠悠) 일체불시구(一切不是句) 천고(天鼓)

태화당 2019. 9. 3. 10:05

世事悠悠

南嶽瓚和上歌 其略云 世事悠悠 不如山丘 靑松蔽日 碧澗長流 山雲當幕 夜月爲鈎 臥藤蘿下 塊石枕頭 不朝天子 豈羨王侯 生死無慮 更復何憂 師諱明瓚 嵩山普寂之嗣子 北秀之的孫 世號嬾瓚 然禪門有三嬾 牛頭嬾融 嗣四祖 潙山嬾安 嗣百丈 師預其一焉 瓚 在坦切

) --> 

南嶽嬾瓚和上歌 그것을 해 이르자면 世事에 유유함이/ 山丘와 같지 못하나니/ 청송은 해를 가리고/ 碧澗은 늘 흐르며/ 山雲에 해당하고/ 夜月은 갈고리가 되도다/ 藤蘿(는 새삼 넌출 라. 담쟁이 넌출 라) 아래 누워/ 塊石을 베개하니/ 天子朝見치 않거늘/ 어찌 王侯를 부러워하랴/ 생사를 염려치 않거늘/ 다시 또 무엇을 근심하랴. 스님의 明瓚이니 嵩山普寂嗣子北秀(北宗神秀)的孫이며 세상에서 이라 한다. 그러나 선문에 三嬾이 있으니 牛頭嬾融四祖를 이었고 潙山嬾安百丈을 이었고 스님이 그 하나에 끼인다. 在坦切.

) --> 

一切不是句

黃蘗示衆 欲知佛法省徑處 一切不是 見廣錄

) --> 

黃蘗(希運이니 百丈懷海法嗣. 南嶽下三世)이 시중하다. 불법의 省徑處(은 덜 생)를 알고자 한다면 一切不是니라. 광록을 보라.

) --> 

天鼓

當作天瞽 謂生盲也

마땅히 天瞽(는 소경 고)로 지어야 하나니 이르자면 生盲(태어나면서 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