摘楊花
有僧辭趙州 州拈拂子云 有佛處不得住 無佛處急走過 三千里外逢人 不得錯擧 僧云 恁麽則不去也 州云 摘楊花 摘楊花
) -->
어떤 중이 조주를 작별하자 州가 불자를 집어 이르되 부처가 있는 곳엔 머묾을 얻지 말고 부처가 없는 곳엔 급히 달려 지나가게. 삼천 리 밖에서 사람을 만나거든 錯擧(錯은 그를 착)함을 얻지 말게나. 중이 이르되 이러하다면 곧 가지 않겠습니다. 州가 이르되 버들꽃을 따세. 버들꽃을 따세.
) -->
口堪喫飯
雲門云 只祇堪喫飯 你道 古人拈椎竪拂 楊眉動目 作麽生辨 自代云 潙山笠子江西別 又云 龍頭蛇尾
) -->
운문이 이르되 단지(祇는 다만 지) 밥 먹음을 감당하나니 네가 말하라 古人이 拈椎竪拂(방망이를 잡고 불자를 세움)하고 楊眉動目(楊은 揚과 통함. 곧 눈썹을 치키고 눈을 움직임)함을 어떻게 변명하겠는가. 스스로 대신해 이르되 위산의 삿갓은 강서와 다르느니라. 또 이르되 용두사미로다.
) -->
橫說竪說
見雲門錄之上
) -->
운문록의 상(위 卷第一)을 보라.
) -->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7 오(噁) 허공위고(虛空爲鼓) (0) | 2019.09.04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6 불견법견(佛見法見)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4 맹상문하(孟常門下)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3 수리장봉(袖裏藏鋒)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2 승조(承祧) 법공좌(法空座)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