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見法見
諸佛要集經 文殊師利住忍世界 心自念言 今日十方各恒沙等諸佛世尊 悉來集會東方佛土天王佛所普光 明宣佛要集法 吾寧可往詣彼世界 奉覲諸佛 諮受經典 於是報彌勒云 可共俱往詣天王佛普光刹土 彌勒答曰 仁者欲往 便可進路 吾不行也 所以者何 道德巍巍 不可攀諭 身不能見 亦不堪住覩形聞音 文殊師利 莫以色像觀諸如來 佛者法身 法身叵파見 無聞無養 於是文殊師利 飢虛於法 而無厭倦 獨己無侶 佛神力所制 使彼衆會無一從者 文殊師利如伸臂頃 至天王佛所 時天王佛心自念言 文殊師利 諸佛所嘆 深奧忍辱 行於空慧 無能逮者 今從忍界 興心念來 墮大顚倒 極受吾我而有所趣 當退立之鐵圍山頂 於是天王如來 告文殊曰 來至於此 欲何所觀 文殊白言 唯然世尊 我在忍界 心自念言 諸佛興世 甚難得値 講說經典 亦復難値 欲見如來 聽所說法故 詣此佛土 天王如來卽如其像 三昧正受而現神足 移文殊師利 自然立於鐵圍山頂 不自覺知爲誰所擧 文殊復曰 今顯神足 成神變化 無極聖慧 示其道力 還於衆會 卽如其像 三昧正受而現神足 發意之頃 越于東方恒河佛土 不能舍遠彼佛世界如毫釐 況入佛會 未之有也▶住는 마땅히 任으로 지어야 함.
) -->
제불요집경(卷上) 문수사리가 忍世界에 머물면서 마음에 스스로 생각해 말하되 금일 十方의 각기 恒沙와 같은 제불세존이 東方佛土의 天王佛의 처소 普光에 다 와서 集會해 佛要集法을 明宣하시니 내가 어찌해야 가히 그 세계에 往詣해 제불을 奉覲하고 경전을 諮受(諮는 물을 자)할까. 이에 미륵에게 알려 이르되 가히 한가지로 함꼐 천왕불의 普光刹土에 往詣하자. 미륵이 답해 가로되 仁者가 가고 싶거든 곧 가히 進路하라. 나는 가지 않으리라. 소이란 게 어떤가 하면 도덕은 巍巍외하여 가히 攀諭(攀은 당길 반. 諭는 비유할 유. 깨달을 유. 經文에 喩로 지어졌음. 곧 비유를 당김)치 못하며 몸으로 능히 보지 못하며 또한 形狀을 보거나 소리를 들음을 堪任치 못해서이다. 문수사리여 色像으로써 諸如來를 보지 말지니 佛이란 것은 법신이며 법신은 보지 못하며 들음이 없고 기룸이 없다. 이에 문수사리가 법에 飢虛하여(虛飢져서) 厭倦이 없었다. 홀로(獨己) 伴侶가 없었으니 佛神力의 억제하는 바로 그 衆會에 하나의 從者도 없게 했다. 문수사리가 마치 팔을 펴는 동안에 天王佛所에 이르렀다. 때에 천왕불이 마음에 스스로 생각해 말하되 문수사리는 제불이 찬탄하는 바라 심오하고 인욕하며 空慧를 행하므로 능히 미치는 자가 없다. 이제 忍界로부터 心念을 일으켜 와서 大顚倒에 떨어져 극히 吾我를 받아 所趣가 있으니 마땅히 鐵圍山頂에 退立케 하리라. 이에 천왕여래가 문수에게 고해 가로되 여기에 來至하여 무엇을 보고자 하는 바인가. 문수가 사뢰어 가로되 예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내가 忍界에 있으면서 마음에 스스로 생각해 말하되 제불이 세상에 出興하심은 매우 만남을 얻기 어려우며 경전을 강설하심은 또한 다시 만나기 어렵습니다. 여래를 보고자 함은 설하는 바 법을 듣고자 함인 고로 이 불토에 이르렀습니다. 천왕여래가 곧 그 形像과 같이 해 三昧正受에서(三昧를 번역하면 正受임) 神足(五通의 하나. 神境智證通 또는 神境通이라고도 함. 不思議한 경계를 變現하는 것을 神境智證通이라 하며 遊涉과 왕래에 자재하는 신통력이므로 神足通이라 함)을 나타내어 문수사리를 이동해 자연히 鐵圍山頂에 세웠는데 누구에게 들리는(擧) 바가 되었는지 스스로 覺知치 못했다. 문수가 다시 가로되 지금 신족을 나타내어 신기로운 변화를 이룸은 다함 없는 聖慧로 그 도력을 보임이니 衆會에 돌아가 곧 그 형상과 같이 해 三昧正受에서 신족을 나타내십시오. 發意하는 동안 동방의 恒河佛土를 건너 능히 그 佛世界를 마치 호리만큼도 멀리 떠나지 못하거늘 하물며 佛會에 들겠는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8 로반승묵(魯般繩墨) (0) | 2019.09.04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7 오(噁) 허공위고(虛空爲鼓)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5 적양화(摘楊花) 구감끽반(口堪喫飯)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4 맹상문하(孟常門下)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瀑泉 13 수리장봉(袖裏藏鋒)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