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脚下鐵崑崙】 謂金剛力士脚下之鐵崑崙兒 崑崙兒 又作崑崙奴 ▲普燈錄八祖照道和 僧問 無遮聖會 還有不到者麽 曰 有 云 誰是不到者 曰 金剛脚下鐵崑崙
금강각하철곤륜(金剛脚下鐵崑崙) 이르자면 금강역사 발 아래의 철곤륜아(鐵崑崙兒)임. 곤륜아는 또 곤륜노로 지음. ▲보등록8 조조도화. 중이 묻되 무차(無遮)의 성회(聖會)에 도리어 이르지 않는 자가 있습니까. 가로되 있다. 이르되 누가 이 이르지 않는 자입니까. 가로되 금강각하의 철곤륜(金剛脚下鐵崑崙)이다.
) -->
【金剛劍】 同金剛王寶劍 ▲如淨語錄上 鐵酸豏金剛劍 呑了斬了 以活爲驗 作家恁麽共提持 超過佛祖增光焰
금강검(金剛劍) 금강왕보검과 같음. ▲여정어록상. 철산함(鐵酸豏)과 금강검(金剛劍)은 삼키고 베어서 산 것으로써 시험한다. 작가가 이러히 함께 제지(提持)하매 불조를 초과하여 불꽃을 더한다.
) -->
【金剛經】 金剛般若波羅蜜經 一卷 姚秦鳩摩羅什譯 略稱金剛般若經 金剛經 異譯本有五種 一北魏菩提流支譯(同題) 二陳眞諦譯(同題) 三隋代達磨笈多譯之金剛能斷般若波羅蜜經(略稱金剛能斷經) 四唐代玄奘譯之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大般若波羅蜜多經卷五七七能斷金剛分) 五唐代義淨譯之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略稱能斷金剛經) ▲禪門拈頌集第五五則 金剛經云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法眼云 若見諸相非相 卽不見如來
금강경(金剛經) 금강반야바라밀경이니 1권이며 요진 구마라집이 번역했음. 약칭이 금강반야경ㆍ금강경임. 이역본(異譯本)으로 5종이 있음. 1. 북위 보리류지 역(譯; 同題). 2. 진 진제 역(同題). 3. 수 달마급다 역의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약칭이 금강능단경). 4. 당대 현장 역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대반야바라밀다경 권577의 능단금강분). 5 당대 의정 역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약칭이 능단금강경). ▲선문염송집 제55칙 금강경(金剛經)에 이르되 만약 제상(諸相)이 상(相)이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본다. 법안이 이르되 만약 제상이 상이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지 못한다.
) -->
【金剛經五家解】 見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를 보라.
) -->
【金剛經五家解說誼】 二卷一冊 朝鮮國僧涵虛得通編 亦稱般若五家說誼 解說金剛經五家解 五家解者 卽傅大士贊 六祖口訣 圭峰纂要 冶父頌 宗鏡提綱也 有世祖三年(1457)之銅活字本 與雲興寺板 廣興寺板 身安寺板等 [韓國佛敎全書七]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 2권 1책. 조선국승 함허득통(涵虛得通)이 편(編)했음. 또 명칭이 반야오가설의니 금강경오가해를 해설하였음. 오가해란 것은 곧 부대사찬ㆍ육조구결ㆍ규봉찬요ㆍ야보송ㆍ종경제강임. 세조 3년(1457)의 동활자본과 운흥사판ㆍ광흥사판ㆍ신안사판 등이 있음 [한국불교전서7].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9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6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5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4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