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7쪽

태화당 2019. 5. 9. 11:22

金剛笑菩薩金剛界三十七尊中 南方寶生如來四親近菩薩之一 住喜悅之三昧耶 而爲笑顔 [略出經 出生義] 註心賦一 南方寶生如來 四菩薩者 一金剛寶菩薩 二金剛威光菩薩 三金剛幢菩薩 四金剛笑菩薩

금강소보살(金剛笑菩薩) 금강계 37존 가운데 남방 보생여래 4친근보살의 하나. 희열의 삼매야에 머물면서 웃는 얼굴을 지었음 [약출경. 출생의]. 주심부1. 남방 보왕여래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보보살이며 2는 금강위광보살이며 3은 금강당보살이며 4는 금강소보살(金剛笑菩薩)이다.

) --> 

金剛樹結金剛子實之樹 見金剛子 續傳燈錄四景淸居素 問 如何是末上一句 師曰 金剛樹下

금강수(金剛樹) 금강자의 열매를 맺는 나무임. 금강자를 보라. 속전등록4 경청거소. 묻되 무엇이 이 말상의 1구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금강수(金剛樹) 아래다.

) --> 

金剛手菩薩金剛薩埵也 又名普賢 [大日經疏九 新譯仁王經下] 宗鏡錄二十二 大毘盧遮那成佛經云 爾時金剛手菩薩復白佛言 世尊 誰尋求一切智 誰爲菩提成正覺者 誰發起一切智智 佛言 祕密主 自心尋求菩提及一切智

금강수보살(金剛手菩薩) 금강살타임. 또 이름이 보현임 [대일경소9. 신역인왕경하]. 종경록22. 대비로자나성불경에 이르되 이때 금강수보살(金剛手菩薩)이 다시 불타에게 사뢰어 말하되 세존이시여, 누가 일체지를 심구(尋求)하며 누가 보리로 정각을 이룸이 되는 자며 누가 일체지지를 발기합니까. 불타가 말씀하되 비밀주여, 자심으로 보리 및 일체지를 심구(尋求)한다.

) --> 

金剛水際見金輪水際 法苑珠林二 樓炭經云 此地深二十億萬里 下有金粟亦二十億萬里 下有金剛亦二十億萬里 下有水際八十億萬里 下有無極大風 深五百二十億萬里 此雖六重 前四是地輪 第五是水輪 第六是風輪 大慧語錄九 金剛水際藏身 非非想天走馬

금강수제(金剛水際) 금륜수제를 보라. 법원주림2 루탄경에 이르되 이 땅의 깊이는 20억만 리며 아래 금속(金粟)이 있는데 또한 20억만 리며 아래 금강(金剛)이 있는데 또한 20억만 리며 아래 수제(水際)가 있는데 80억만 리며 아래 다함이 없는 대풍이 있는데 깊이가 520억만 리다. 이것이 비록 6()이나 앞의 4는 이 지륜이며 제5는 이 수륜이며 제6은 이 풍륜이다. 대혜어록9. 금강수제(金剛水際)에 몸을 숨기고 비비상천에서 말을 달린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