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眼】 堅固眼 卽明定正邪 辨別得失之眼 ▲五燈會元十五智門光祚 問 金剛眼中著得箇甚麼 師曰 一把沙 曰 爲甚麼如此 師曰 非公境界
금강안(金剛眼) 견고안이니 곧 사정을 밝혀 정하고 득실을 변별하는 눈. ▲오등회원15 지문광조. 묻되 금강안(金剛眼) 가운데 무엇을 붙이겠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한 웅큼의 모래다. 가로되 무엇 때문에 이와 같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공(公)의 경계가 아니다.
) -->
【金剛眼睛】 ①同金剛眼 ▲法演語錄上 師入院開堂日 宣疏了 乃云 疏帖一時讀了 若是具金剛眼睛底 何必重說偈言 雖然如是 事無一向 便陞座 ▲法演語錄下 永嘉道 亦無人亦無佛 大千沙界海中漚 一切聖賢如電拂 大衆 這裏若不具金剛眼睛 便見髑髏遍野 ②濟宗四事隨身之一 ▲五家宗旨纂要上濟宗四事隨身 二金剛眼睛 分優辨劣 透海穿山
금강안정(金剛眼睛) ①금강안과 같음. ▲법연어록상. 스님이 입원하여 개당하는 날에 선소(宣疏)하여 마치고 이에 이르되 소첩(疏帖)은 일시에 읽어 마쳤다. 만약 이, 금강안정(金剛眼睛)을 갖춘 자라면 어찌 거듭 게언(偈言)을 설함이 필요하겠는가. 비록 그러하여 이와 같기는 하지만 일이 한결같지 않다. 바로 승좌했다. ▲법연어록하. 영가가 말하되 또한 사람도 없고 또한 부처도 없나니 대천사계가 바다 가운데의 물거품이며 일체성현이 번개가 번쩍함과 같다. 대중이여, 이 속에서 만약 금강안정(金剛眼睛)을 갖추지 못했다면 바로 촉루가 들판에 두루함을 보리라. ②제종사사수신의 하나. ▲오가종지찬요상 제종사사수신. 2. 금강안정(金剛眼睛) 분우변열(分優辨劣; 우열을 분별함)하고 바다를 뚫고 산을 뚫는다.
) -->
【金剛愛菩薩】 位於金剛界曼陀羅第一成身會中 東方月輪五尊中阿閦如來左方之菩薩也 司大悲愛染 [祕藏記末 聖位經] ▲註心賦一 東方阿閦如來 四菩薩者 一金剛薩埵菩薩 二金剛王菩薩 三金剛愛菩薩 四金剛善哉菩薩
금강애보살(金剛愛菩薩) 금강계만다라 제1 성신회중(成身會中)에 위치하며 동방 월륜5존 중 아축여래 좌방의 보살임. 대비애염(大悲愛染)을 맡음 [비장기말. 성위경]. ▲주심부1. 동방 아축여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살타보살이며 2는 금강왕보살이며 3은 금강애보살(金剛愛菩薩)이며 4는 금강선재보살이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1-1032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0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7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6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