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王寶劒】 ①極爲堅硬鋒利的寶劍 多喩禪悟者自在運用 毫無障礙的機鋒 ▲碧巖錄第七十三則 釋迦老子 說一代時敎 末後單傳心印 喚作金剛王寶劍 喚作正位 ②濟宗四喝之一 ▲五家宗旨纂要上濟宗四喝 有時一喝如金剛王寶劍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劒) ①극히 견경(堅硬; 견고)한 봉리(鋒利; 칼날이 예리함)의 보검이니 다분히 선오자의 자재한 운용으로, 터럭만큼의 장애가 없는 기봉에 비유함. ▲벽암록 제73칙. 석가노자가 일대시교를 설하고 말후에 심인을 단전(單傳)하였으니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劍)으로 불러 지으며 정위(正位)로 불러 짓는다. ②제종 4할(喝)의 하나. ▲오가종지찬요상 제종 4할. 어떤 때의 1할(喝)은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劍)과 같다.
) -->
【金剛王菩薩】 金剛界十六菩薩之一 東方阿閦如來四親近之一 具名金剛鉤王 標如來四攝之德 持鉤之三昧耶形 [聖位經 出生義] ▲宗鏡錄二十四 東方阿閦如來 四菩薩者 一金剛薩埵菩薩 二金剛王菩薩 三金剛愛菩薩 四金剛善哉菩薩
금강왕보살(金剛王菩薩) 금강계 16보살의 하나. 동방 아축여래의 4친근의 하나. 갖춘 이름은 금강구왕이며 여래의 사섭(四攝)의 덕을 표시함. 갈고리를 가진 삼매야형임 [성위경. 출생의]. ▲종경록24. 동방 아축여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살타보살이며 2는 금강왕보살(金剛王菩薩)이며 3은 금강애보살이며 4는 금강선재보살이다.
【金剛王菩薩祕密念誦儀軌經】 金剛王菩薩祕密念誦儀軌 一卷 唐不空譯 收於大正藏第二十冊 ▲宗鏡錄九十六 金剛王菩薩祕密念誦儀軌經云 端身正坐作是思惟 一切諸法從自心起 從本已來皆無所有
금강왕보살비밀염송의궤경(金剛王菩薩祕密念誦儀軌經) 금강왕보살비밀염송의궤니 1권. 당 불공(不空)이 번역했음. 대정장 제20책에 수록되었음. ▲종경록96. 금강왕보살비밀염송의궤경(金剛王菩薩祕密念誦儀軌經)에 이르되 단정한 몸으로 바로 앉아서 이 사유를 지을지니 일체 제법은 자심으로부터 일어나며 종본이래(從本已來)로 모두 있는 바가 없다.
) -->
【金剛喩定】 指如金剛一般堅利之定 又作金剛三昧 金剛滅定 其體堅固 其用銳利 可摧毁一切煩惱 故以能破碎諸物之金剛比喩之 此乃三乘學人之末後心 亦卽小乘聲聞或大乘菩薩 於修行卽將完成之階段 欲斷除最後煩惱所起之定 生起此定 可斷除極微細之煩惱 而各得其極果 於聲聞之最高悟境可達阿羅漢果 於菩薩則得佛果 [大毘婆沙論二十八 大智度論四十七 俱舍論二十四 成唯識論十] ▲碧巖錄第四則 德山本是講僧 在西蜀講金剛經 因敎中道 金剛喩定後得智中 千劫學佛威儀 萬劫學佛細行 然後成佛 他南方魔子 便說卽心是佛 遂發憤 擔疏鈔行脚 直往南方 破這魔子輩
금강유정(金剛喩定) 금강과 같이 일반으로 견리(堅利; 견고하고 예리함)한 정(定)을 가리킴. 또 금강삼매ㆍ금강멸정으로 지음. 그 체가 견고하고 그 용이 예리하여 가히 일체의 번뇌를 최훼(摧毁)하는지라 고로 능히 모든 물건을 파쇄하는 금강으로써 이에 비유함. 이것은 곧 3승(乘) 학인의 말후심이며 또한 곧 소승성문이나 혹 대승보살이, 수행에서 곧 거의 완성의 계단에 최후의 번뇌를 단제(斷除)하려 하면서 일으키는 바의 정임. 이 정을 생기(生起)하면 가히 극미세의 번뇌를 단제하여 각기 그 극과를 얻음. 성문의 최고 오경(悟境)에선 아라한과에 가히 도달하고 보살에선 곧 불과를 얻음 [대비바사론28. 대지도론47. 구사론24. 성유식론10]. ▲벽암록 제4칙. 덕산은 본시 강승이다. 서촉에 있으면서 금강경을 강의했다. 인하여 교중에 말하기를 금강유정(金剛喩定)의 후득지(後得智) 가운데서 천 겁 동안 부처의 위의를 배우고 만 겁 동안 부처의 세행(細行)을 배운 연후에 성불한다 하였거늘 저 남방의 마자(魔子)는 곧 설하기를 바로 마음이 이 부처라 한다 하고는 드디어 발분하여 소초를 짊어지고 행각하여 바로 남방으로 가서 이 마자의 무리를 깨뜨리겠다 하였다.
) -->
【金剛因菩薩】 金剛界曼陀羅第一成身會中 位於西方月輪五尊中無量壽如來左方之菩薩也 司如來轉法輪之因德 [祕藏記末 聖位經] ▲註心賦一 西方無量壽如來 亦名觀自在王如來 四菩薩者 一金剛法菩薩 二金剛劍菩薩 三金剛因菩薩 四金剛利菩薩
금강인보살(金剛因菩薩) 금강계만다라 제1 성신회중(成身會中)에 서방 월륜 5존 중 무량수여래 좌방에 위치한 보살임. 여래 전법륜의 인덕(因德)을 맡음 [비장기말. 성위경]. ▲주심부1. 서방의 무량수여래는 또 이름이 관자재왕여래이다.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법보살이며 2는 금강검보살이며 3은 금강인보살(金剛因菩薩)이며 4는 금강리보살이다.
【金剛子】 金剛樹(一名天目樹)之實 可造數珠 甚堅硬 [慧琳音義三十五] ▲紫柏集八 縱食金剛子 亦能消得
금강자(金剛子) 금강수(一名이 천목수)의 열매. 가히 수주를 만들며 매우 견경(堅硬; 견고)함 [혜림음의35]. ▲자백집8. 비록 금강자를 먹더라도 또한 능히 소득(消得; 소화)한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4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3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0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8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