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藥叉】 金剛夜叉之新稱 五大明王之一 爲住於北方 三面六臂 或一面四臂之忿怒尊 是金剛界五智如來中 北方不空成就如來之忿怒身也 [理趣釋下 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三 瑜伽瑜祇經] ▲宗鏡錄二十四 北方不空成就如來 四菩薩者 一金剛業 二金剛法 三金剛藥叉 四金剛拳
금강약차(金剛藥叉) 금강야차의 신칭(新稱)임. 5대명왕의 하나며 북방에 거주함. 3면6비(三面六臂)며 혹 1면4비의 분노존임. 이는 금강계 5지여래 중 북방 불공성취여래의 분노신임 [이취석하. 금강정유가중약출염송경3. 유가유기경]. ▲종경록24. 북방 불공성취여래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업이며 2는 금강법이며 3은 금강약차(金剛藥叉)며 4는 금강권이다.
【金剛業菩薩】 金剛界三十七尊中 北方不空成就如來四親近菩薩之一 司如來事業之德 [祕藏記末 略出經 聖位經] ▲註心賦一 北方不空成就如來 四菩薩者 一金剛業菩薩 二金剛法菩薩 三金剛藥叉菩薩 四金剛拳菩薩
금강업보살(金剛業菩薩) 금강계 37존 가운데 북방 불공성취여래의 4친근 보살의 하나. 여래의 사업의 덕을 맡음 [비장기말. 약출경. 성위경]. ▲주심부1. 북방 불공성취여래의 4보살이란 것은 1은 금강업보살(金剛業菩薩)이며 2는 금강법보살이며 3은 금강약차보살이며 4는 금강권보살이다.
【金剛王】 金剛中之最勝者云金剛王 猶言牛中之最勝者 爲牛王也 △楞嚴經四曰 淸淨圓滿 體性堅凝 如金剛王 常住不壞 ▲禪門拈頌集第二六四則 圜悟勤頌 無學彈指超 圓通耳根淨 透出聞不聞 妙哉觀音行 棒頭指出金剛王 嶮惡道中爲津梁
금강왕(金剛王) 금강 중의 최승자를 이르되 금강왕이니 소 중의 최승자를 임컬어 우왕이라 함과 같음. △릉엄경4에 가로되 청정하고 원만하며 체성이 견응(堅凝)함이 금강왕(金剛王)과 같아서 상주하고 파괴되지 않는다. ▲선문염송집 제264칙. 원오근이 송하되 무학은 손가락 퉁김에서 초월하고/ 원통의 이근이 청정하다/ 문(聞)과 불문을 투출하니/ 묘하도다, 관음행이여/ 방두(棒頭)에 금강왕(金剛王)을 가리켜 내니/ 험악도 가운데 진량(津梁; 나루터와 다리)이 된다.
【金剛王寶覺】 如來正覺之德稱 ▲了菴淸欲語錄五 圓證無上妙蓮華 安住金剛王寶覺
금강왕보각(金剛王寶覺) 여래 정각의 덕칭. ▲요암청욕어록5. 원만히 위없는 묘련화를 증득하여 금강왕보각(金剛王寶覺)에 안주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3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1-1032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27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