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68쪽

태화당 2019. 4. 28. 17:34

可汗本是突厥語 亦作可罕 其實是一個音 含義類似中國古代的天子 國王 是蒙古等族的君長族長稱號 [百度百科] 禪林寶訓順硃一 戎是西戎 狄是北狄 可汗之類

가한(可汗) 본시 돌궐어임. 또한 가한(可罕)으로 짓지만 그 실은 이 1개의 음임. 함축한 뜻은 중국 고대의 천자ㆍ국왕과 유사함. 이는 몽고 등의 종족의 군장(君長)이나 족장의 칭호임 [백도백과]. 선림보훈순주1. 융은 이 서융(西戎)이며 적은 이 북적(北狄)이니 가한(可汗)의 종류다.

 

假合衆緣之假和合也 和合必有離散 是一時之和合而非永久 故云假 宗門武庫 四大色身諸緣假合 從本以來舍利豈有體性

가합(假合) 중연(衆緣)의 가화합임. 화합은 반드시 이산이 있으니 이는 일시의 화합이라서 영구하지 않는지라 고로 이르되 가(). 종문무고. 4대의 색신은 제연(諸緣)의 가합(假合)이거늘 본래로부터 오면서 사리(舍利)에 어찌 체성이 있으리오.


假合之身謂人之身 是衆緣之假和合物也 禪林疏語考證三 昔入空門已禮眞如之佛 今歸寂境遽拋假合之身

가합지신(假合之身) 이르자면 사람의 몸은 이 중연(衆緣)이 가화합한 물건임. 선림소어고증3. 옛적엔 공문(空門)에 들어 이미 진여의 불타에계 예배했고 금일엔 적경(寂境)에 돌아가 급히 가합의 몸(假合之身)을 포기한다.

 

歌行古代的一種詩歌體裁 祖堂集九玄泰 平生所有歌行偈頌遍于寰海

가행(歌行) 고대의 일종의 시가체재(詩歌體裁). 조당집9 현태. 평생 소유한 가행(歌行)과 게송이 환해(寰海)에 두루한다.


駕幸天子抵達某地 稱幸 駕幸有貴人駕臨之意 爲敬詞 五燈全書七十八佛古聞 値世祖章皇帝駕幸 師正跏趺

가행(駕幸) 천자가 어떤 땅에 저달(抵達; 도착)함을 행()이라 일컬음. 가행은 귀인이 가림(駕臨)한다는 뜻이 있음. 경사(敬詞)가 됨. 오등전서78 불고문. 세조장황제의 가행(駕幸)을 만났는데 스님은 바로 가부했다.

 

加行位唯識五位之一 於三十心之終 將入見道 而爲煖 頂 忍 世第一法 四善根方便加行之位 [唯識論九] 宗範下 唯識本宗 自初資糧位 次加行位 至三通達 須歷僧祇大劫 方得證眞 再進而爲四修習位 五究竟位 統須三阿僧祇 乃登佛果

가행위(加行位) 유식 5위의 하나. 30()의 최종에 장차 견도위(見道位)에 들면 난ㆍ정ㆍ인ㆍ세제일법의 선근(善根)의 방편가행의 위()가 됨 [유식론9]. 종범하. 유식의 본종은 처음의 자량위(資糧位)로부터 다음은 가행위(加行位)3의 통달(通達; 통달위)에 이르면서 모름지기 승기대겁(僧祇大劫)을 경과하고서야 비로소 증진(證眞)을 얻는다. 다시 나아가야 4의 수습위와 5의 구경위가 된다. 통틀어 3아승기를 써야 이에 불과(佛果)에 오른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