練若야
亦云蘭若 又云阿蘭拏나 此云空寂 亦云閑寂 閑亦無諍之義也
) -->
또한 이르되 란야며 또 이르되 阿蘭拏나니 여기에선 이르되 空寂이며 또한 이르되 閑寂임. 閑도 또한 無諍의 뜻임.
) -->
諠猾▶諠은 지껄일 훤. 猾은 狡猾할 활. 어지러울 활.
戶八切 狡猾也
) -->
戶八切이니 狡猾(狡는 교활할 교)임.
) -->
方外
莊子 大宗師 孔子曰 彼遊方之外者也 而丘遊方之內者也 方 謂區域也
) -->
장자 대종사(莊子의 篇名) 공자가 가로되 그는 方의 밖에서 노니는 자며 丘(공자의 이름)는 方의 안에 노니는 자이니라. 方은 이르자면 區域임.
) -->
三際
過去 未來 見현在
과거 미래 현재임.
) -->
四禪
初禪三天 梵衆 梵輔 大梵 二禪三天 少光 無量光 光音 三禪三天 少淨 無量淨 遍淨 四禪九天 福生 福愛 廣果 無想 無煩 無熱 善現 善見 色究竟 其一十八梵禪 梵 皆以淸淨爲義
) -->
初禪 三天은 범중 범보 대범이며 二禪 三天은 소광 무량광 광음이며 三禪 三天은 소정 무량정 편정이며 四禪 九天은 복생 복애 광과 무상 무번 무열 선현 선견 색구경이니 그 一十八梵禪임. 梵은 다 청정으로써 뜻을 삼음.
) -->
逝水
論語 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 -->
논어(子罕한第九) 공자가 川上(上은 범위나 방면을 가리키는 글자)에 있으며 가로되 가는 자는 이와 같아야 하리니 주야를 쉬지(舍) 않는구나.
) -->
苾蒭
西國草名 含五義不飜 一體性柔軟 喩出家能折伏身語麤獷광 二引蔓旁布 喩傳法度生延連不絶 三馨형香遠聞 喩出家戒德芬馥 爲衆所聞 四療疾病 喩出家能斷煩惱毒害 五常不背日光 喩出家人常見光明 苾 毗必切 蒭 測虞우切
) -->
서국의 草名이니 五義를 포함하는지라 번역하지 않음. 一은 體性이 柔軟함이니 출가하여 능히 身語의 麤獷(獷은 사나울 광)을 折伏함에 비유함. 二는 뻗친 넝쿨이 두루 퍼짐이니 법을 전하고 중생을 제도하되 延連(벋어 이어짐)하여 끊기지 않음에 비유함. 三은 馨香(馨은 향기 형)이 멀리 풍김(聞)이니 출가하여 戒德이 芬馥(芬은 향기 분. 馥은 향기 복. 곧 향기가 높은 모양)하여 중생들이 맡는 바가 됨에 비유함. 四는 질병을 치료함이니 출가하여 능히 번뇌의 毒害를 끊음에 비유함. 五는 늘 일광을 등지지 않음이니 출가하여 사람들이 늘 광명을 봄에 비유함. 苾은 毗必切이며 蒭는 測虞우切임.
) -->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12 허생백(虛生白) (0) | 2019.09.06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11 복(馥)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9 색유(賾幽)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8 주저(躊躇)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7 중마(衆魔)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