慵▶게으를 용.
蜀庸切 嬾慵
) -->
蜀庸切이니 嬾慵(嬾은 게으를 란. 慵은 게으를 용)임.
) -->
慷愷▶慷은 강개할 강. 愷는 즐거울 개.
下當作慨 苦蓋切 慷慨 壯士不得志也
) -->
下는 마땅히 慨로 지어야 하나니 苦蓋切임. 강개는 壯士가 뜻을 얻지 못한 것임.
) -->
卛
與率同
) -->
率과 같음.
) -->
李將軍
漢傳 飛騎將軍李廣 多與匈奴戰 匈奴多敗破 單선于素聞廣賢 令曰 得李廣 必生致之 胡騎一日得廣 置廣兩馬間 絡而盛臥 行十餘里 廣陽死 睨예其旁有一胡兒騎善馬 廣暫騰上胡兒馬 因推墮兒 取其弓 鞭馬南馳數十里 復得其餘軍 因引而入塞 匈奴捕者騎數百追之 廣行取胡兒弓 射殺追騎 以故得脫 於是至漢 廣後居北平 匈奴聞之 號曰飛騎將軍 避之數載不敢入
) -->
漢傳(漢書卷五十四 李廣蘇建傳第二十四) 飛騎將軍 李廣은 많이 匈奴와 전투했고 흉노가 많이 패해 깨어졌다. 單선于가 본디 廣의 현명함을 들은지라 명령해 가로되 이광을 얻으면 반드시 생포하여 그에게 이르게(致) 했다. 胡의 騎兵이 어느 날 廣을 얻어 광을 兩馬 사이에 놓고 包絡(동이거나 싸서 묶음)하여 담아서 눕혔다. 십여 리를 가는데 광이 거짓으로(陽은 거짓 양) 죽은 척 했다. 그 곁을 슬쩍 보니 한 胡兒가 좋은 말을 타고 있었다. 광이 잠시 만에 호아의 말에 솟구쳐 올라탔고 인해 호아를 밀어 떨어뜨리고 그 활을 취해 말을 채찍질하며 남쪽으로 수십 리를 달렸다. 다시 그 나머지 군사를 얻어 인해 인솔해 要塞새에 들어갔다. 흉노가 追捕하는 자의 기병 數百으로 그를 추격했다. 광이 가다가 호아의 활을 얻어 追騎를 사살해 연고로써 탈출함을 얻었고 이에 漢에 이르렀다. 광이 뒤에 北平에 거주했는데 흉노가 그것을 듣고 호해 가로되 飛騎將軍(漢書 李廣傳에 漢飛將軍으로 지어졌음)이라 했으며 그를 피해 數載(數年) 동안 감히 침입하지 못했다.
) -->
凱歌▶凱는 싸움 이긴 풍류 개.
司馬法曰 得意卽凱樂악 所以示喜也 唐天和二年 方定其儀 凡命將征討有大功 將入都門 鼓吹振作 迭奏破陣樂等四曲 其一曰破陣樂 受律辭元首 相將討叛臣 咸歌破陣樂 共賞太平人 其二曰應聖期 應聖期昌運 雍熙萬寓淸 乾坤資化有 海嶽用休明 闢土忻흔耕稼 銷戈遂偃兵 殊方歌帝澤 執贄지賀昇平 其三曰賀朝歡 四海皇風被 千年德水淸 戎衣更不著 今日告功成 其四曰君臣同慶樂 主聖開昌曆 臣忠奉大猷 君看偃革後 便是太平秋▶天和는 太和로 의심됨. 有는 育으로 의심됨.
) -->
司馬法(춘추시대 齊의 將帥 司馬穰苴저 지음. 武經七書 중의 하나. 사마양저의 本姓은 田. 大司馬가 되었기 때문에 사마양저라 함)에 가로되 뜻을 얻으매 곧 凱樂악함은 기쁨을 보이는 所以다. 唐太和二年828에 비로소 그 儀式이 정해졌음. 무릇 칙명하기를 장병이 征討에 大功이 있고 장차 都城 문에 들어오면 북을 치고 나팔 불어 振作하되 빨리 破陣樂 등 四曲을 奏樂케 했다. 그 一은 가로되 파진악이니 군률을 받고 元首에게 고별하고/ 서로 데리고서 叛臣을 토벌하도다/ 모두 파진악을 노래해/ 함께 태평의 사람들을 玩賞하도다. 그 二는 가로되 應聖期니 應聖(왕을 가리킴)의 시기가 昌運하여/ 雍熙(雍은 화할 옹. 熙는 빛날 희)가 萬寓淸(매우 淸平함)이로다/ 건곤이 化育을 돕고/ 海嶽이 休明(休는 아름다울 휴)을 쓰도다./ 땅을 열어 耕稼(耕作)를 기뻐하고/ 창을 녹여 드디어 兵革(革은 가죽 혁. 갑옷 혁. 투구 혁. 곧 무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또 전쟁을 일컬음)을 쉬도다/ 다른 지방도 帝澤(제왕의 恩澤)을 노래하고/ 幣帛을 가지고 昇平(太平)을 축하하도다. 그 三은 가로되 賀朝歡이니 四海가 皇風을 입어/ 千年토록 德水가 청정하도다/ 戎衣(軍服)를 다시 입지 않으니/ 오늘에야 공을 이루었음을 고하도다. 그 四는 가로되 君臣同慶樂이니 主聖이 昌曆(昌盛한 冊曆)을 여시니/ 臣民이 충성으로 大猷(猷는 道 유. 곧 大道)를 받들도다/ 그대는 보아라 兵革을 쉰 후를/ 바로 이 태평의 가을이니라.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2 지마(指馬) (0) | 2019.09.06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1 형총총(荊叢叢)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49 합국(闔國)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48 함담(菡萏)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47 고흥(高興)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