指馬
近一指 近取諸身也 遠一馬 遠取諸物也
) -->
근일지는 가까이 諸身에서 취함이며 원일마는 멀리 諸物에서 취함임.
) -->
澹交
見前頌秋水
) -->
前頌 秋水(위 지금의 卷第四)를 보라.
) -->
照乘
魏惠王曰 若寡人之國雖小 有徑寸之珠 照前後車各十二乘者十枚
) -->
魏惠王(재위 서기전 370-서기전 334)이 가로되 이에(若) 과인의 나라가 비록 작지만 지름이 一寸인 구슬이 있어 앞 뒤의 수레를 각기 十二乘을 비추는 것이 十枚다(이 얘기는 史記卷四十六에 나옴).
) -->
臆▶가슴 억.
於力切
) -->
於力切임.
) -->
巴歌
西漢 注云 巴 巴人也 當高祖初爲漢王 得巴兪人 竝趫揵善鬬 與之定三秦滅楚 因存其武樂악也 卽今之巴州兪州 宋玉所謂下俚巴歌 國中屬而和者數千人矣 趫 丘祅切▶揵은 健건으로 의심됨.
) -->
서한(전한) 注에 이르되 巴는 巴人이다. 高祖가 처음 漢王이 됨에 당하여 巴州와 兪州 사람을 얻었는데 아울러 재빠르고(趫) 굳세며 잘 싸웠다. 그들과 더불어 三秦(지금의 陝西省이니 秦代의 關中임. 項羽가 秦을 멸한 후 이 땅을 三分하여 秦의 降將 章邯감 司馬欣 董동翳 세 사람에게 주었음)을 定하고 楚를 멸했으며 인하여 그 武樂악을 存置했다. 즉금의 巴州와 兪州니 宋玉이 이른 바 下俚巴歌를 국중에서 이어 화응하는 자가 數千人이라 한 것임. 趫는 丘祅切임.
) -->
竺卿
釋子之通稱 謂竺國之卿輔也 亦猶此方三公九卿也 釋名曰 卿 慶也 言萬物皆慶賴焉
) -->
釋子(佛子)의 통칭이니 이르자면 천축국의 卿輔임. 또한 이 지방의 三公이나 九卿(아홉 명의 大臣. 九司. 시대에 따라 그 명칭이 달랐음)과 같음. 釋名에 가로되 卿은 慶이니 말하자면 만물이 다 慶賴(慶賀하고 依賴함)함임.
) -->
伽耶城
吾佛降誕於迦毗羅城 成道於伽耶城 轉法輪度五比丘已 入滅拘尸那城
우리 불타가 迦毗羅城에서 강탄하시고 伽耶城에서 성도하시고 법륜을 굴려 五比丘(三藏法數卷第十六 一은 阿若憍陳如니 梵語로 阿若는 華言으론 已知며 이는 그 이름이다. 범어로 憍陳如는 화언으론 火器니 이는 그의 姓이다. 그는 이 婆羅門種으로써 先世에 火를 섬겼으므로 고로 이르되 火器니 곧 佛의 舅氏이다. 二는 頞알鞞니 범어로 알비는 화언으론 馬勝이며 또 이르되 馬師니 곧 佛의 家族이다. 三은 跋提니 범어로 발제는 화언으론 小賢이며 곧 佛의 家族이다. 四는 十力迦葉이다. 범어로 가섭이며 또 이르되 婆敷無翻니 또한 佛의 舅氏이다. 대가섭이 아니며 또한 三迦葉도 아니다. 五는 拘利太子니 구리태자는 곧 斛飯王의 長子며 곧 佛의 從兄弟이다)를 제도하신 다음 拘尸那城에서 입멸하셨음.
) -->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4 종지(種智) (0) | 2019.09.06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3 명(銘)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1 형총총(荊叢叢)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0 용(慵)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49 합국(闔國)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