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자역주 조정사원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風穴衆吼集 41 검령지공(劍嶺誌公)

태화당 2019. 9. 7. 10:53

劍嶺誌公

桉僧傳 寶誌 齊建元中 稍異迹 武帝延入後堂居之 旣而 景陽山猶有一誌 與七僧俱 帝怒 遣推檢 失所在 問吏 云誌久在後堂 自後凡遇出 卽以墨塗其身而記云 此言景陽山 不言劍嶺也

) --> 

僧傳(高僧傳卷第十)을 안험하니 寶誌齊 建元中479-482에 조금 異迹을 나타냈다. 武帝가 맞이해 後堂에 들게 하여 거기에서 거처하게 했다. 이미 그러고선 景陽山에 오히려 한 보지가 있고 七僧과 함께 한다 하므로 推檢을 보냈는데 所在를 잃었다. 관리에게 물으니 이르되 는 오래도록 후당에 있다 했다. 후로부터 무릇 외출함을 만나면 곧 먹으로써 그 몸에 발라 표기했다. 여기에서 말하되 경양산이라 했고 劍嶺을 말하지 않았음.

) --> 

張騫

卽漢之博望侯也 乘槎至天河 見祖英靈槎 斬龍頭 廣燈作斬船頭 然二者皆無所出 恐傳者之妄

) --> 

博望侯. 乘槎하고 天河에 이르렀다 한 것은 祖英靈槎(卷第三)를 보라. 斬龍頭는 광등록에 斬船頭라 하였거니와(廣燈錄卷第十五斬龍頭로 지어졌음) 그러나 二者는 다 나오는 곳이 없으므로 한 자의 허망으로 염려됨.

) --> 

秦王發問

譯經記云 羅什譯維摩經 至芥納須彌 毛呑巨海 姚興閣筆曰 後人信否 如何 什乃謂帝說不思議法 姚興信伏而書之 三人者 卽僧肇預焉

) --> 

譯經記에 이르되 라집이 유마경을 번역하는데 芥子須彌를 받아들이고 털이 巨海를 삼킨다(維摩詰所說經卷中에 이르되 須彌芥子 중에 들어가고 四大海의 물을 一毛孔에 넣는다) 함에 이르러 姚興(재위 394-416. 後秦第二代 高祖文桓帝)閣筆(은 놓을 각. 곧 붓을 놓음)하고 가로되 후인이 믿겠습니까. 어떻습니까. 집이 이에 에게 일러 不思議法을 설했다. 요흥이 信伏하여 그것을 썼다. 三人이란 것은 곧 僧肇參預했음.

) --> 

四威儀行住坐臥.

桉南陽錄 肅宗遇國師 師起迎 帝曰 何必起也 師曰檀越何得向四威儀內見貧道邪

) --> 

남양록을 안험하니 숙종이 국사를 만나자 스님이 일어나 맞이했다. 가 가로되 何必 일어나십니까. 스님이 가로되 단월이 어찌하여 四威儀 안을 향해 貧道를 봄을 얻습니까.

) --> 

停毒

停當作亭 亭毒 謂天地之氣 所以覆載養育蒼生

) --> 

은 마땅히 으로 지어야 함. 亭毒은 이르자면 천지의 氣運蒼生(세상의 모든 사람. 蒼民. 蒼氓)覆載(하늘이 만물을 덮고 땅이 만물을 받쳐 실었다는 뜻)하고 양육하는 所以이다.

) --> 

一卽六

楞嚴 文殊偈云 一根旣返源 六根成解脫 又元依一精明 分成六和合 一處成休復 六用皆不成

) --> 

릉엄경(卷第六) 文殊偈에 이르되 一根이 이미 返源(根源으로 돌아감)하니/ 六根이 해탈을 이루도다/ 또 원래 一精明에 의해/ 나뉘어 六和合을 이루었거니와/ 一處休復(쉬어서 돌아감)을 이루니/ 六用(眼等 六根)이 다 이루어지지 않도다.

) --> 

無蹤迹

當作身土迹謝

) --> 

마땅히 身土迹謝로 지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