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山慧】 宋代雲門宗僧法慧 開法鎭江府金山寺 詳見法慧
금산혜(金山慧) 송대 운문종승 법혜가 진강부 금산사에서 개법했으니 상세한 것은 법혜(法慧)를 보라.
) -->
【金色頭陀】 金色迦葉也 卽摩訶迦葉 彼身有金色之光 爲頭陀行第一 故名也 又稱大飮光 金色尊者 乃禪宗之第一祖 ▲禪門拈頌集第五則 竹庵珪頌 海水飜空滾底流 魚龍蝦蠏信沈浮 可憐金色頭陁子 直至如今笑未休
금색두타(金色頭陀) 금색의 가섭임. 즉 마하가섭이니 그의 몸에 금색의 빛이 있으며 두타행이 제1이므로 고로 이름함. 또 호칭이 대음광ㆍ금색존자니 곧 선종의 제1조. ▲선문염송집 제5칙. 죽암규가 송하되 해수가 허공에 나부끼다가 바닥에 세차게 흐르니/ 어룡과 하해(蝦蠏; 새우와 게)가 부침하는 대로 맡기네/ 가련하다, 금색두타자(金色頭陁子; 자는 후철)는/ 바로 여금에 이르도록 웃음을 그치지 않네.
) -->
【金色波羅華】 波羅華 優鉢羅華之略 是蓮華之一種 ▲元叟行端語錄一 世尊一日 以兜羅綿手 擧金色波羅華 普示大衆 時迦葉破顔微笑 世尊云 吾有正法眼藏 涅槃妙心 付囑於汝
금색바라화(金色波羅華) 바라화는 우발라화의 약칭. 이는 연화의 1종임. ▲원수행단어록1. 세존이 어느 날 도라면(兜羅綿)의 손으로 금색바라화(金色波羅華)를 들어 대중에게 널리 보였다. 때에 가섭이 파안미소했다. 세존이 이르되 나에게 정법안장 열반묘심이 있어 너에게 부촉한다.
) -->
【金色世界】 文殊菩薩淨土之名 [華嚴經十二] ▲宗鏡錄十九 華嚴論云 一切處文殊師利 一切處金色世界 一切處不動智佛
금색세계(金色世界) 문수보살의 정토의 이름 [화엄경12]. ▲종경록19. 화엄론에 이르되 일체처가 문수사리며 일체처가 금색세계(金色世界)며 일체처가 부동지불이다.
) -->
【金色尊者】 卽大迦葉也 見金色頭陀 ▲明覺語錄二 因雪示衆云 頭上皚皚脚下皚皚 金色尊者獨上高臺 開眼造罪合眼受災 如何如何天網恢恢
금색존자(金色尊者) 즉 대가섭이니 금색두타를 보라. ▲명각어록2. 눈으로 인해 시중해 이르되 머리 위에 희고 희며 발 아래 희고 희나니 금색존자(金色尊者)가 홀로 고대(高臺)에 오른다. 눈을 뜨면 죄를 짓고 눈을 감으면 재앙을 받나니 여하여하오 하면 천망(天網)이 회회(恢恢; 넓고 넓음)하다 하리라.
) -->
【今生】 又作今世 現世 現生 卽現在之生涯 ▲五燈會元十四陳州石鏡 前生是因 今生是果
금생(今生) 또 금세ㆍ현세ㆍ현생으로 지음. 곧 현재의 생애. ▲오등회원14 진주석경. 전생은 이 인이며 금생(今生)은 이 과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62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61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7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