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牛作舞】 見金牛飯桶 ▲五燈全書九十四南溟鵬 頌金牛作舞曰 金牛笑舞暗藏刀 佛口蛇心恨不消 一粒拽空窮劫夢 從敎舌上瀉秋濤
금우작무(金牛作舞) 금우반통을 보라. ▲오등전서94 남명붕. 금우작무(金牛作舞)를 송해 가로되 금우가 웃으며 춤을 추면서 몰래 칼을 감췄나니/ 부처의 입에 뱀의 마음이라 한이 사라지지 않는다/ 한 알로 끌어 궁겁의 꿈을 비우니/ 혀 위에 가을 파도를 쏟아붓는 대로 좇는다.
) -->
【金牛眞】 宋代楊岐派僧 住金牛 得印記於潭州石霜竹巖妙印 [禪燈世譜五]
금우진(金牛眞) 송대 양기파승. 금우에 거주했으며 담주 석상의 죽암묘인에게서 인기(印記)를 얻었음 [선등세보5].
) -->
【禁苑】 帝王的園林 指宮廷 ▲雜毒海一 十二樓分禁苑涼
금원(禁苑) 제왕의 원림. 궁정을 가리킴. ▲잡독해1. 12루로 나뉜 금원이 서늘하다.
) -->
【禁闈】 宮廷門戶 指宮內或朝廷 禁 古代帝王居住地處 闈 宮中小門 ▲虛堂語錄十 凜凜聲華出禁闈
금위(禁闈) 궁정의 문호. 궁내나 혹은 조정을 가리킴. 금(禁)은 고대 제왕이 거주하는 지처(地處)며 위(闈)는 궁중의 작은 문. ▲허당어록10. 늠름한 성화(聲華; 훌륭한 명성)가 금위(禁闈)에서 나오다.
) -->
【禁圍】 猶禁闈 指內宮 ▲五燈會元十五育王懷璉 中使宣傳出禁圍 再令臣住此禪扉
금위(禁圍) 금위(禁闈)와 같음. 내궁을 가리킴. ▲오등회원15 육왕회련. 중사(中使)의 선전은 금위(禁圍)에서 나왔나니 거듭 신으로 하여금 이 선비(禪扉; 선방)에 거주하게 했다.
【金以石試人以言試】 欲知眞金以石試之 欲知爲人以言試之 ▲虛堂語錄一 擧 古德因僧問 如何是冬來事 德云 京師出大黃 師云 金以石試 人以言試
금이석시인이언시(金以石試人以言試) 진금을 알려고 한다면 돌로써 그것을 시험하고 사람됨을 알고자 한다면 말로써 그를 시험함. ▲허당어록1. 거(擧)하다. 고덕이, 중이 묻되 무엇이 이 겨울의 일입니까 함으로 인해 고덕이 이르되 경사에 대황(大黃)이 나온다. 스님이 이르되 금은 돌로써 시험하고 사람은 말로써 시험한다(金以石試 人以言試).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7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6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4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3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2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