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76쪽

태화당 2019. 5. 10. 08:58

金人又作金神 本指金銅之像 後因佛身常敷以金色 故金人又指佛或佛像 西漢武帝元狩二年(121) 曾由西方獲得金人而禮拜之 又東漢永平十年(6 7) 明帝因夢金人 故遣使至月氏國 請回佛像經典僧伽等 [佛祖統紀三十四 歷代三寶紀一 廣弘明集一 魏書釋老志一一四 史記一一一衛將軍驃騎列傳 漢書列傳二十五 後漢書西域傳七十八] 達磨大師四行觀碑頌 楞伽山頂坐寶日 中有金人披縷褐

금인(金人) 또 금신(金神)으로 지음. 본래 금동의 상을 가리키지만 후에 부처의 몸이 늘 금색을 폄으로 인해 고로 금인은 또 부처나 혹은 불상을 가리킴. 서한 무제 원수 2(12 1)에 일찍이 서방에서 금인을 획득함으로 말미암아 그에게 예배했음. 또 동한 영평 10(67) 명제가 금인을 꿈꾸었으며 고로 사신을 파견해 월지국에 이르러 불상ㆍ경전ㆍ승가 등을 요청하여 돌아왔음 [불조통기34. 역대삼보기1. 광홍명집1. 위서석로지114. 사기111위장군표기열전. 한서열전25. 후한서서역전78]. 달마대사사행관비송. 릉가산정에서 보일(寶日)에 앉았는데 가운데 금인(金人)이 있어 누갈(縷褐; 실로 짠 베옷)을 입었다.

) --> 

今日失利失利 失敗 五燈會元七鏡淸道怤 師問荷玉 甚處來 曰 天台來 師曰 阿誰問汝天台 曰 和尙何得龍頭蛇尾 師曰 鏡淸今日失利

금일실리(今日失利) 실리는 실패. 오등회원7 경청도부. 스님이 하옥에게 묻되 어느 곳에서 오느냐. 가로되 천태에서 옵니다. 스님이 가로되 누가 너에게 천태를 물었는가. 가로되 화상은 왜 용두사미를 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경청이 금일 실리(今日失利)했다.

) --> 

琴子卽琴 子 後綴 祖堂集十五鄧隱峰 獨絃琴子爲君彈 松柏長靑不怕寒

금자(琴子) 곧 거문고니 자는 후철. 조당집15 등은봉. 외줄 금자(琴子)를 그대를 위해 퉁기나니 송백은 늘 푸르러 추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 --> 

金紫光祿大夫文官 職官名 唐代爲正三品 宋代爲正二品 元代爲從一品 君主近臣 依君主詔命行事 [百度百科] 參光祿大夫 鎭州臨濟慧照禪師語錄序 延康殿學士金紫光祿大夫眞定府路安撫使兼馬步軍都總管兼知成德軍府事 馬防撰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관이며 직관(職官; 관직)의 이름. 당대에 정3품이 되었고 송대에 정2품이 되었고 원대에 종1품이 되었음. 군주의 근신이며 군주의 조명(詔命; 조칙)에 의해 행사했음 [백도백과]. 광록대부를 참조하라.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서. 연강전학사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진정부로안무사 겸마보군도총관 겸지성덕군부사 마방(馬防) ().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