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03쪽

태화당 2019. 5. 10. 09:16

寄歸傳全稱南海寄歸內法傳 簡稱南海寄歸傳 寄歸傳 唐義淨著 四卷 收於大正藏第五十四冊 義淨於唐高宗咸亨二年(671) 由海道往印度求學 遊歷三十餘國 於武周證聖元年(695)歸國 途中停留在南海的室利佛逝國時 把他在各處實地考察所得的有關佛敎戒律等情況 寫成寄回中國 故稱寄歸傳 其中也有關於印度和東南亞等地情形的記載 [百度百科] 祖庭事苑五 和南 寄歸傳云 梵語訛略 正云畔睇 此言致敬

기귀전(寄歸傳) 전칭이 남해기귀내법전이며 간칭이 남해기귀전ㆍ기귀전. 당 의정(義淨)이 지었고 4권이며 대정장 제54책에 수록되었음. 의정이 당 고종 함형 2(671) 해도(海道)를 경유하여 인도에 가서 학문을 구했는데 30여 국을 유력(遊歷)하고 무주(武周) 증성 원년(695) 귀국했음. 도중에 남해의 실리불서국(室利佛逝國; Sri-vishaya)에 정류할 때 그가 각처에 있으면서 실지로 고찰하여 얻은 바의 불교와 유관한 계율 등의 정황을 잡아 서사해 이루어서 중국에 기회(寄回: 기탁하고 회귀함)한지라 고로 명칭이 기귀전(寄歸傳). 그 중에 또 인도와 동남아 등지의 정형(情形)에 유관한 기재도 있음 [백도백과]. 조정사원5. 화남(和南) 기귀전(寄歸傳)에 이르되 범어의 와략(訛略)이다. 바르게 이르면 반제(畔睇; vandana)니 여기 말로는 치경(致敬; 경례를 드리다)이다.

) --> 

機根衆生之根性性質也 天如惟則語錄三 由衆生不達惟心 局乎現量 機根不等 證悟懸殊 故於一淨土中標列四種 曰常寂光 曰實報 曰方便 曰同居

기근(機根) 중생의 근성과 성질임. 천여유칙어록3. 중생이 유심(惟心)을 통달하지 못하고 현량(現量)에 국한되고 기근(機根)이 같지 못하고 증오(證悟)가 현격히 다름으로 말미암아 고로 하나의 정토 중에 4종을 표열(標列)한다. 가로되 상적광(常寂光)이며 가로되 실보(實報)며 가로되 방편이며 가로되 동거(同居).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