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46쪽

태화당 2019. 5. 10. 15:12

緊峭草鞋卽緊帩草鞋 峭 嚴厲也 疑帩 集韻 帩 縛也 法演語錄上 僧問 如何是佛 師云 獨木橋子 學云 如何趣向 師云 緊峭草鞋 古尊宿語錄十五雲門匡眞 問 槨示雙趺 當表何事 師云 言 進云 未審師意如何 師云 緊峭草鞋

긴초초혜(緊峭草鞋) 즉 긴초초혜(緊帩草鞋). ()는 엄려(嚴厲; 엄하고 사납다, 높다). ()로 의심됨. 집운 초() (; 동이다. 묶다)이다. 법연어록상.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외나무다리이다. 학인이 이르되 어떻게 취향해야 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긴초초혜(緊峭草鞋)하라. 고존숙어록15 운문광진. 묻되 곽시쌍부는 마땅히 무슨 일을 표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언(). 진운(進云)하되 미심합니다, 스님의 뜻이 무엇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긴초초혜(緊峭草鞋)하라.

) --> 

拮据禪林疏語考證四 詩鴟鴞曰 予手拮据 註 拮据 手口共作之貌 禪林疏語考證四 百千萬變拮据 惟屬於一人

길거(拮据) 선림소어고증4. 시 치효에 가로되 내가 손으로 길거(拮据)한다. () 길거 손과 입이 함께 일하는 모양이다. 선림소어고증4. 백천만 번 변하며 길거(拮据)하더라도 오직 한 사람에게 속했다.

) --> 

吉慶幸福之可慶者 萬法歸心錄上 改惡從善 如病得汗 自然吉慶 諸聖祐之

길경(吉慶) 행복의 가히 경하할 만한 것. 만법귀심록상. 악을 고쳐 선을 좇으면 병환에서 땀을 얻음과 같아서 자연히 길경(吉慶)이며 제성이 그를 도와 준다.

) --> 

狤狤獠獠饒舌貌 宏智廣錄四 雲門老子能施設 胡餠佛祖俱超越 哆哆和和兩片皮 狤狤獠獠三寸舌

길길료료(狤狤獠獠) 요설모(饒舌貌; 말이 많은 모양). 굉지광록4. 운문노자는 능히 시설하여/ 호병과 불조를 모두 초월했다/ 치치화화(哆哆和和)하는 양편피며/ 길길요료(狤狤獠獠)한 세 치의 혀다.

) --> 

吉旦每月初一 泛指吉祥的日子 重刻四家評唱序 萬曆丁未歲菊月吉旦 雲南楚雄府知府華亭徐琳書

길단(吉旦) 매월 초하루. 널리 길상의 일자를 가리킴. 중각사가평창서. 만력 정미세 국월 길단(吉旦)에 운남 초웅부지부 화정 서림이 쓰다.

) --> 

吉羅具云突吉羅 此云惡作 或云惡說 在身名惡作 在口名惡說 [緇門警訓註中] 緇門警訓三 十誦不應受單尼師壇 離宿吉羅

(吉羅) 갖추어 이르면 돌길라(突吉羅; duṣkṛta. dukkaṭa)니 여기에선 이르되 악작(惡作), 혹은 이르되 악설임. 몸에 있어선 이름이 악작이며 입에 있어선 이름이 악설임 [치문경훈주중]. 치문경훈3. 십송(十誦) 응당 단니사단(單尼師壇)을 수지(受持)하지 않는다. 이숙(離宿)하면 길라(吉羅).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