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咭咶】 一嘮叨 二象聲詞 ▲五燈全書六十三瑞白明雪 爐峯岌㟧 會稽咭咶
길시(咭咶) 1. 노도(嘮叨; 말이 많은 모양). 2. 상성사. ▲오등전서63 서백명설. 노봉은 급악(岌㟧; 높고 경사짐)하고 회계(會稽)는 길시(咭咶)하다.
【吉安府】 元至正二十二年(1362) 朱元璋改吉安路置 治廬陵縣(今江西吉安市) 轄境相當今江西省吉水萬安兩縣間贛江流域及安福永新等縣地 屬江西省 [百度百科]
길안부(吉安府) 원 지정22년(1362) 주원장이 길안로를 고쳐 설치했으며 치소는 여릉현(지금의 강서 길안시)임. 관할 경계는 지금의 강서성 길수ㆍ만안 두 현 사이의 공강 유역 및 안복ㆍ영신 등의 현지(縣地)며 강서성에 속함 [백도백과].
) -->
【吉庵貞】 淸代臨濟宗僧洪貞 字吉庵 詳見洪貞
길암정(吉庵貞) 청대 임제종승 홍정의 자가 길암이니 상세한 것은 홍정(洪貞)을 보라.
) -->
【吉菴祚】 明代臨濟宗僧 得印記於默堂宣 後開法吉庵 [徑石滴乳集三 禪燈世譜六]
길암조(吉菴祚) 명대 임제종승. 묵당선에게서 인기(印記)를 얻었으며 후에 길암에서 개법했음 [경석적유집3. 선등세보6].
) -->
【吉日】 一吉利的日子 二每月初一 ▲慧暉語錄一 八月吉日上堂
길일(吉日) 1. 길리한 일자. 2. 매월 초 1일. ▲혜휘어록1. 8월 길일에 상당하다.
) -->
【吉日良辰】 由星宿之法 定吉日良辰 爲印度之古法 宿曜經 摩登伽經 舍頭諫太子二十八宿經等詳說之 ▲瞎堂慧遠廣錄一 待選吉日良辰 與你一坑埋却
길일량신(吉日良辰) 성수(星宿)의 법을 말미암아 길일양신을 정함. 인도의 고법이 됨. 수요경ㆍ마등가경ㆍ사두간태자이십팔수경 등에 이를 상세히 해설했음. ▲할당혜원광록1. 길일양신(吉日良辰)을 선택함을 기다렸다가 너희를 한 구덩이에 묻어 주리라.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4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3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1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0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49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