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4쪽

태화당 2019. 5. 10. 15:18

金大鉉(?-1870) 朝鮮國居士 漢城世居人 久任貢吏 能通儒 道家 書 年過四十 閱楞嚴經 專學佛敎 哲宗十一年(1860) 移住安東 高宗七年辭世 有禪學入門二卷 述夢瑣言一卷 字學正典一部 [韓國佛敎全書十]

김대현(金大鉉) (?-1870) 조선국 거사. 한성의 세거인(世居人; 한 고장에 대대로 산 사람). 오래 공리(貢吏)를 맡았고 유()ㆍ도가ㆍ서에 능통했음. 나이 40을 넘겨 릉엄경을 열람했으며 오로지 불교를 학습했음. 철종 11(1860) 안동으로 이주했으며 고종 7년에 사세(辭世; 세상을 하직함. 곧 죽음)했음. 선학입문 2권ㆍ술몽쇄언 1권ㆍ자학정전 1부가 있음 [한국불교전서10].

) --> 

金龍寺位於韓國慶尙北道聞慶郡山北面雲達山 日帝時三十一本山之一 新羅眞平王十年(588) 雲達祖師肇基 降至朝鮮中宗大王時 明嘉靖(1522-1 566)年間 芙蓉靈觀中興之 朝鮮仁宗三年(1625) 惠聰禪師重建 二十年後燒失 義休 無盡 大休等三大師重建 古名雲峰寺 [朝鮮佛敎通史上]

김룡사(金龍寺) 한국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운달산에 위치함. 일제 시 31본산의 하나. 신라 진평왕 10(588) 운달조사가 일찍이 기초했으며 내려오면서 조선 중종대왕 때인 명 가정(1522-1566)년 간에 이르러 부용영관(芙蓉靈觀)이 이를 중흥했음. 조선 인종 3(1625) 혜총선사가 중건했는데 20년 후에 소실되었고 의휴ㆍ무진ㆍ대휴 3대사가 중건했음. 옛이름은 운봉사였음 [조선불교통사상].

) --> 

金時習(1435-1493) 朝鮮初 生六臣之一人 法諱雪岑 字悅卿 號東峰 淸寒子 碧山淸隱 贅世翁 梅月堂 江陵金氏 世祖元年(1455) 硏學於三角山重興寺 聞首陽大君登極 不勝痛憤 剃落爲僧 自號雪岑 世祖十一年(146 5) 建立金鷔山室於慶州南山 歷居慶州金鷔山茸長寺 楊州水落寺 雪嶽山五歲庵等 年四十七娶妻還俗 再入山 行頭陀 成宗二十四年 入寂於鴻山無量寺 有梅月堂集 梅月堂四遊錄 金鷔新話 妙法蓮華經別讚 十玄談要解 華嚴一乘法界圖註幷序 曹洞五位要解等 [韓國佛敎全書七]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조선 초 생6()의 하나. 법휘는 설잠(雪岑)이며 자는 열경이며 호는 동봉ㆍ청한자ㆍ벽산청은ㆍ췌세옹ㆍ매월당(梅月堂)이니 강릉 김씨. 세조 원년(1455) 삼각산 중흥사에서 학문을 연구했는데 수양대군이 등극했다 함을 듣고서 통분(痛憤)을 이기지 못해 체락(剃落)하여 승인이 되었으며 스스로 호하기를 설잠이라 했음. 세조 11(1465) 경주 남산에 금오산실(金鷔山室)을 건립하였음. 경주 금오산 용장사ㆍ양주 수락사ㆍ설악산 오세암 등을 다니며 거주했음. 나이 47에 취처(娶妻;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하여 환속했다가 다시 입산하여 두타를 행했음. 성종 24년 홍산 무량사에서 입적했음. 매월당집ㆍ매월당사유록ㆍ금오신화ㆍ묘법연화경별찬ㆍ십현담요해ㆍ화엄일승법계도주병서ㆍ조동오위요해 등이 있음 [한국불교전서7].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