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減劫】 增劫之對稱 於住劫之中由人壽無量歲 每百年減一歲 至人壽十歲 爲第一之減劫 由是每百年增一歲 至人壽八萬歲 更下至十歲爲第二之減劫 如此一上一下 終第十九之減劫 更增至人壽八萬歲 爲第二十之增劫 至住劫而終 卽第一止於減數 第二十止於增數 中間有十八回之增減 是曰住劫之二十增減 此中由第一至第十九減壽之時期 名減劫 由第二至第二十增壽之時期 名增劫 [俱舍論十二] ▲禪林寶訓一 時當減劫 高岸深谷 遷變不常 安得圓滿如意自求稱足
감겁(減劫) 증겁(增劫)의 대칭. 주겁(住劫)의 가운데 사람의 수명이 무량한 나이로부터 매 백 년마다 1살이 감소하여 사람의 나이가 10살에 이르면 제1의 감겁(減劫)이 됨. 이로부터 매 백 년마다 1살이 증가하여 사람의 나이가 8만 살에 이르렀다가 다시 내려가 10살에 이르면 제2의 감겁이 됨. 이와 같이 한 번 오르고 한 번 내려 제19의 감겁을 마치면 다시 증가하여 사람의 나이 팔만 살에 이르는데 제20의 증겁이 되며 주겁에 이르러 마침. 곧 제1의 감수(減數)에 머묾과 제20의 증수(增數)에 머무는 중간에 18회의 증감이 있는데 이를 가로되 주겁의 20증감임. 이 중에 제1로부터 제19의 감수(減壽)의 시기에 이르기까지를 이름해 감겁이며 제2로부터 제20의 증수(增壽)의 시기에 이르기까지를 이름해 증겁임 [구사론12]. ▲선림보훈1. 시기가 감겁(減劫)에 당한지라 높은 언덕 깊는 계곡이 천변(遷變; 변천)하여 항상하지 않거늘 어찌 원만하고 여의함을 얻어 스스로 칭족(稱足; 만족)함을 구하려는가.
【感激】 原意爲感奮激發 禪家轉義爲衷心感謝 ▲古尊宿語錄四十八佛照禪師奏對錄 今春伏蒙聖旨 令灑掃靈隱 三月三十日 又准降香開堂 實增感激
감격(感激) 원래의 뜻은 감정이 북받쳐 격발(激發)함이 됨. 선가에선 뜻을 돌려 속마음으로 감사함이 됨. ▲고존숙어록48 불조선사주대록. 금년 봄 성지(聖旨)를 복몽(伏蒙)하여 영은을 쇄소(灑掃)케 하였고 3월 30일 비준(批准; 승인)하여 향을 내리고 개당케 하시니 실로 감격(感激)을 더합니다.
【勘過】 謂禪人之間試驗對方悟道之深淺 勘 察看 過 助詞 ▲聯燈會要六趙州 臺山下有婆子 凡有僧問 臺山路向甚麽處去 便云 驀直去 僧纔行 婆云 好箇師僧 又恁麽去 每每如斯 僧擧似師 師云 待我與汝勘過 明日便去 亦如是問 婆亦如是答 師歸謂衆云 婆子 我爲汝勘破了也
감과(勘過) 이르자면 선인지간에 상대방의 오도의 심천을 시험함. 감(勘)은 살펴 봄이며 과(過)는 조사. ▲연등회요6 조주. 대산(臺山; 오대산) 아래 파자(婆子; 노파)가 있었다. 무릇 어떤 중이 묻되 대산로는 어느 곳으로 향해 가야 합니까 하면 곧 이르되 바로 곧장 가십시오. 중이 겨우 가려 하면 노파가 이르되 좋은 스님이 또 이렇게 가시는구나. 번번이 이와 같았다. 중이 스님에게 들어 보이자 스님이 이르되 내가 너에게 감과(勘過)하여 주겠다. 명일 곧 가서 또 이와 같이 물었고 노파도 또한 이와 같이 답했다. 스님이 돌아와 대중에게 이르되 파자를 내가 너희를 위해 감파(勘破)해 마쳤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7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6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4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3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1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