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口】 開口 張口 ▲碧巖錄第三十八則 直饒講得千經論 一句臨機下口難 ▲五燈全書四十八曹源道生 上堂 佛法二字 人人知有 狼毒砒霜 如何下口 直饒透過威音前 也是癡狂外邊走
하구(下口) 개구(開口). 장구(張口; 입을 벌림). ▲벽암록 제38칙. 직요(直饒; 가령. 卽使) 1천 경론을 강득하더라도 1구(句)를 기(機)에 임하여 하구(下口)하기 어렵다. ▲오등전서48 조원도생. 상당. 불법 2자는 사람마다 지유(知有)하지만 낭독(狼毒)과 비상(砒霜)에 어떻게 하구(下口)하겠는가. 직요(直饒) 위음전(威音前)을 투과하더라도 또한 이는 치광(癡狂)하여 외변으로 달림이다.
) -->
【下口食】 四種邪命食之一 謂比丘種植田園和合湯藥等 以求衣食也 對於仰口食而語 [智度論三 三藏法數十九] ▲元賢廣錄二十七 敎中有邪命食正命食 邪命食有四 仰口食 下口食 方口食 維口食 是也
하구식(下口食) 4종 사명식(邪命食)의 하나. 이르자면 비구가 전원에 씨를 뿌리고 식물을 심고 탕약을 화합하는 등으로 의식을 구함이니 앙구식(仰口食)에 상대하여 말함임 [지도론3. 삼장법수19]. ▲원현광록27. 교중에 사명식(邪命食)과 정명식(正命食)이 있다. 사명식에 넷이 있으니 앙구식(仰口食)ㆍ하구식(下口食)ㆍ방구식(方口食)ㆍ유구식(維口食)이 이것이다.
) -->
【下根】 根性之劣者 與根機之弱者 ▲宗鏡錄十二 是以諸佛出世 知機知時 俯爲下根 示生減劫 空拳誘引 黃葉提撕
하근(下根) 근성이 열등한 자와 근기가 약한 자. ▲종경록12. 이런 까닭으로 제불이 출세하매 지기지시(知機知時)하여 굽히어 하근(下根)을 위해 감겁(減劫)에 시생(示生)하여 공권으로 유인하고 황엽으로 제시(提撕)한다.
) -->
【河南】 黃河以南地域 ▲五宗錄一臨濟 師一日辭黃檗 黃檗問 什麽處去 師云 不是河南 便是河北
하남(河南) 황하 이남 지역. ▲오종록1 임제. 스님이 어느 날 황벽에게 고별하자 황벽이 묻되 어느 곳으로 가려느냐. 스님이 이르되 이 하남(河南)이 아니라 곧 이 하북입니다.
) -->
【河南府】 今河南洛陽 唐代 河南郡改爲都畿道河南府 北宋時期河南府以西京洛陽爲中心 元朝設河南江北行省 淸代 府治洛陽(今河南省洛陽市) 河南府是洛陽的古稱 [百度百科]
하남부(河南府) 지금의 하남 낙양. 당대(唐代) 하남군을 고쳐 도기도하남부(都畿道河南府)로 삼았음. 북송 시기 하남부는 서경 낙양을 중심으로 삼았음. 원조(元朝)에 하남강북행성을 설치했음. 청대(淸代) 부치(府治)는 낙양(지금의 하남성 낙양시)이었음. 하남부는 이 낙양의 고칭(古稱)임 [백도백과].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쪽 (0) | 2019.12.25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쪽 (0) | 2019.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