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쪽

태화당 2019. 12. 25. 11:17

下髮剃去頭髮 指出家爲僧 五燈會元十四石窻法恭 郡之奉化林氏子 於棲眞院下髮受具

하발(下髮) 두발을 깎아 제거함이니 출가하여 승인이 됨을 가리킴. 오등회원14 석창법공. ()의 봉화 임씨(林氏)의 아들이다. 서진원에서 하발(下髮)하고 수구(受具)했다.

) --> 

煆髮下火 卽火葬 石溪心月雜錄 施主煆髮(下火) 才有一毫頭 便是一毫頭 (中略)會看烈焰雪花飛 不必撥炎求舍利

하발(煆髮) 하하(下火)니 곧 화장. 석계심월잡록. 시주하발(施主煆髮; 下火) 겨우 1호두(毫頭)가 있으면 곧 이 1호두다 (중략) 마침 열염(烈焰)에 설화(雪花)가 날림을 보나니 화염(火炎)을 헤쳐 사리를 구함이 필요하지 않다.

) --> 

下棒棒卽拄杖 下棒 以拄杖打之 古尊宿語錄三十七興聖國師 師便與一下棒 其僧歸堂不肯

하방(下棒) ()은 곧 주장자. 하방은 주장자로 때림. 고존숙어록37 흥성국사. 스님이 곧 한 번 하방(下棒)하여 주었다. 그 중이 귀당(歸堂)하여 수긍하지 않았다.

) --> 

下拜降於兩階之間 北面再拜稽首 此爲古時臣對君之禮 後指跪下而拜 五燈嚴統二十二約之崇裕 謁笑隱 隱擧臨濟無位眞人話詰之曰 你還知麼 師不覺下拜

하배(下拜) 양계(兩階; 동ㆍ서의 계단)의 사이에 내려가 북면(北面)하고 재배하고 계수(稽首)함이니 이것은 고시 신하가 군왕에 대한 예(). 후에 궤하(跪下; 무릎 꿇다)하여 절함을 가리켰음. 오등엄통22 약지숭유. 소은(笑隱)을 참알했다. 소은이 임제의 무위진인화를 들고 힐문하여 가로되 네가 도리어 아느냐. 스님이 불각에 하배(下拜)했다.

) --> 

河伯古代漢族神話中的黃河水神 原名馮夷 也作冰夷 [百度百科] 從容錄第十則 莊子云 宋元君夢人被髮曰 予自宰路之淵 予爲淸江使河伯之所 漁者余且得予 五燈全書六十二無明慧經 龍王驚起歸空界 河伯神祇失却威

하백(河伯) 고대 한족 신화 중의 황하수신(黃河水神)이니 원래 이름은 풍이(馮夷)며 또한 빙이(冰夷)로 지음 [백도백과]. 종용록 제10. 장자에 이르되 송원군(宋元君)의 꿈에 머리카락에 덮힌 사람이 가로되 나는 재로(宰路)의 연못에서 비롯하였으며 나는 청강(淸江)을 위해 하백(河伯)의 처소에 사신이 되었으나 어자(漁者. 어부)인 여차(余且)가 나를 획득했습니다 하였다. 오등전서62 무명혜경. 용왕이 경기(驚起)하여 공계(空界)로 돌아갔고 하백(河伯)과 신기(神祇)가 위엄을 잃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