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何山然】 宋代楊岐派僧 姑蘇(江蘇蘇州)人 得法於吉州道場正堂明辨 出世湖州何山 [五燈會元二十 普燈錄二十一]
하산연(何山然) 송대 양기파승. 고소(강소 소주) 사람. 길주 도량 정당면변에게서 득법했고 호주 하산에서 출세했음 [오등회원20. 보등록21].
) -->
【何山淸】 宋代楊岐派僧慧淸 住湖州何山 詳見慧淸
하산청(何山淸) 송대 양기파승 혜청이 호주 하산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혜청(慧淸)을 보라.
) -->
【訶薩】 摩訶薩埵 乃菩薩或大士之通稱 略稱摩訶薩 此云大有情 大衆生 [智度論五 法華玄贊二] ▲五宗錄三雲門 或云 倒道將一句來看 代云 訶薩
하살(訶薩) 마하살타임. 곧 보살 혹 대사(大士)의 통칭이며 약칭이 마하살임. 여기에선 이르되 대유정ㆍ대중생 [지도론5. 법화현찬2]. ▲오종록3 운문. 혹 이르되 1구를 거꾸로 말해 가져와 보아라. 대운(代云)하되 하살(訶薩)이다.
) -->
【嚇殺】 嚇 怒貌 恐動 殺 所八切 所拜切 表示程度深 ▲圓悟語錄一 進云 和尙還用得斬諸侯劍麽 師云 嚇殺人
하살(嚇殺) 하(嚇)는 노한 모양. 공동(恐動; 으르다). 살(殺)은 소팔절(所八切; 살)ㆍ소배절(所拜切; 쇄)이니 정도의 깊음을 표시함. ▲원오어록1. 진운(進云)하되 화상은 도리어 제후를 베는 검을 용득(用得)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사람을 너무 으르는구나(嚇殺人).
) -->
【何尙之】 (382-460) 字彦德 劉宋時廬江灊縣(安徽霍山東北)人 旣長歸信佛法 躬受淨戒 博通內外 文帝時拜開府儀同三司 嘗與帝談論佛法 帝由是留神釋典 謂尙之曰 佛門之有卿 猶孔氏之有季路 卒謚簡穆 [宏明集十一 南史三十] ▲潙山警策句釋記上 昔宋文帝 謂何尙之曰 若率土皆淳釋化 則朕坐致太平矣
하상지(何尙之) (382-460) 자는 언덕이며 유송(劉宋) 시 여강 첨현(안휘 곽산 동북) 사람. 이미 장성하자 불법에 귀신(歸信)했고 몸소 정계(淨戒)를 수지했으며 내외에 박통했음. 문제 시 개부의동삼사에 제배(除拜)되었음. 일찍이 제(帝)와 불법을 담론했고 제가 이로 말미암아 석교(釋典)에 유신(留神)했음. 상지에게 일러 가로되 불문에 경(卿)이 있음은 마치 공씨(孔氏)에 계로(季路)가 있음과 같다. 졸시(卒謚)는 간목 [굉명집11. 남사30]. ▲위산경책구석기상. 옛적에 송문제가 하상지(何尙之)에게 일러 가로되 만약 솔토(率土; 온 나라의 땅)가 모두 석화(釋化)에 순화(淳化)하면 곧 짐은 앉아서 태평을 이루리라.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쪽 (0) | 2019.12.25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5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2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0쪽 (0) | 2019.12.25 |